Page 77 - ele_science_5-1_tutor
P. 77

정리                                               참고  자료

                 문제 인식의 뜻과 탐구 문제를 정할 때 생각할 점 정리                   닭 콜레라 백신 개발과 면역의 원리 발견
                 하기                                                 파스퇴르의 업적 중 하나는 면역의 원리를 발견해 백
                                                                                                                   1
                 •  문제 인식의 뜻을 설명해 봅시다.                            신을 개발한 것이다. 미생물학에 대한 연구를 거듭하던                    단원
                   -   탐구할 문제를 찾아 명확하게 나타내는 것을 문제                 파스퇴르는 특정한 전염성 질병을 일으키는 원인인 병
                     인식이라고 합니다.                                   원성 미생물을 배양하여 건강한 동물에게 주입하는 실
                 •  탐구 문제를 정할 때 생각해야 할 점을 확인해 봅시다.                험을 했다. 1879`년경 유럽에서는 닭 콜레라가 대유행

                   -   실제로 탐구할 수 있어야 합니다.               실험 관찰     하여 농가의 피해가 컸는데, 이러한 상황을 해결하려고
                   -   탐구하고 싶은 내용이 분명하게 드러나야 합니다.                 파스퇴르는 닭 콜레라를 연구하기 시작했다. 그는 닭
                   -   탐구할 범위가 좁고 구체적이어야 합니다.                     콜레라균을 배양해 건강한 닭에게 주입하는 실험을 반
                   -   너무 거창하거나 단순한 문제를 정하지 않아야 합                 복했는데, 배양된 콜레라균을 주입한 닭은 닭 콜레라
                     니다.                                          증상을 보이다가 죽었다. 그러다 우연히 공기 중에 방
                     수업 도우미   학생들이 수행하기 적절한 탐구 문제의 조건             치된 닭 콜레라균을 건강한 닭에게 주입했는데, 이 닭
                   • 탐구 문제가 재미있고 탐구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도전해             은 죽지 않고 살아남았다. 독성을 약화한 콜레라균을
                     볼 만한 가치가 있어야 한다.                             주입한 뒤 건강해진 닭에게 콜레라균을 주입해도 여전
                   • 학생들이 스스로 어떤 것을 발견할 수 있어야 한다. 이미 경험           히 닭은 죽지 않았다. 파스퇴르는 독성을 약화한 콜레
                     적으로 알고 있는 것을 탐구할 필요는 없다.
                                                                  라균을 배양해 같은 실험을 반복한 결과, 한번 병을 앓
                   • 실제 탐구가 가능한 것이어야 한다. 시간이 많이 걸리거나 비용이
                                                                  고 나면 내성이 생겨 같은 질병을 다시 앓지 않는다는
                     많이 들거나 위험한 것은 적절한 탐구 문제라고 할 수 없다.
                                                                  사실을 확인했다. 이를 통해 파스퇴르는 닭 콜레라를
                   • 학생들이 실제로 활동하여 자료를 모을 수 있는 것이 좋다.
                                                                  예방하는 백신의 개발에 성공했고, 독성이 약화된 병원
                                                                  체를 주사하면 병원체에 대한 내성이 생겨 그 병원체가
                 형성   평가                                          일으키는 질병에 대한 면역 효과가 발생한다는 면역의
                                                                  원리를 발견했다.
                 1   탐구 문제를 정하는 방법으로 옳은 것에 ◯표, 옳지
                   않은 것에 ×표 해 봅시다.
                                                                  문제 인식
                   ⑴ 탐구 문제가 분명하지 않아도 된다.              (  × )
                                                                    문제 인식은 자연 현상을 관찰하며 생긴 의문을 해
                   ⑵ 탐구 문제의 범위가 구체적이어야 한다. (            ◯   )
                                                                  결하기 위해 탐구의 주제를 정하고 구체적인 탐구 문제
                    풀이  탐구 문제는 탐구하고 싶은 내용이 분명하게 드러나야 한다.
                                                                  를 설정하기까지의 과정을 말한다. 문제 인식은 단순히
                                                                  자연 현상이 어떠한지를 기술하는 것이 아니다. 관찰
                 2  탐구 문제로 알맞은 것을  보기  에서 골라 기호를 써
                                                                  한 자연 현상에 대해 ‘왜 그럴까?’, ‘이것은 무엇일까?’,
                   봅시다.
                                                                  ‘ ̄하면 어떻게 될까?’와 같은 의문을 생성하며 스스로
                       보기
                                                                  지식을 구성해 나간다는 측면에서 탐구의 방향과 가치
                     ㉠ 모든 음료는 치아에 해로울까?
                                                                  를 결정하는 핵심적인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 화성에 우주 생명체가 살고 있을까?
                     ㉢  물의 온도에 따라 소금이 녹는 빠르기는 어떻

                       게 될까?

                                                (     ㉢     )
                                                                     자연 현상 관찰         관찰 사실          문제 인식
                    풀이  ㉠은 탐구할 범위가 넓고, ㉡은 실제로 탐구하기에 적합하
                   지 않다. 탐구 문제는 탐구할 범위가 좁고 구체적이야 하며 실제              겨울에도 바다는         바닷물은        왜 바닷물은
                   로 탐구할 수 있어야 한다.                                  파도가 넘실댄다.       잘 얼지 않는다.     잘 얼지 않을까?


                                                                                            1. 과학자의 탐구    75
   72   73   74   75   76   77   78   79   80   81   8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