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81 - ele_science_5-1_tutor
P. 81
정리 참고 자료
가설 설정, 변인 통제의 뜻과 실험을 계획할 때 생각 연역적 탐구
할 점 정리하기 • 연역적 탐구 방법: 문제를 인식하고, 그 문제를 해결
1
• 가설 설정의 뜻을 설명해 봅시다. 할 수 있는 가설을 세운 뒤 이를 실험적으로 검증하 단원
- 관찰한 사실이나 경험을 바탕으로 하여 탐구 문제에 여 결론을 도출하는 과정으로 과학의 탐구 과정이 이
대한 잠정적인 결론을 내려 보는 것을 가설 설정 루어진다. 귀납적 탐구는 구체적인 사실에서 일반적
이라고 합니다. 인 원리를 이끌어 내는 과정이지만, 연역적 탐구는
• 변인 통제의 뜻을 설명해 봅시다. 가설을 검증하기 위한 탐구 과정이다. 연역적 탐구
- 실험을 계획할 때 다르게 해야 할 조건과 같게 해 과정은 다음과 같은 단계를 거쳐 수행한다.
야 할 조건을 확인하고 통제하는 것을 변인 통제
자연 현상 관찰 문제 인식
라고 합니다.
수업 도우미 실험할 때 변인 통제를 해야 하는 까닭 가설이 옳지 않은 경우
가설 설정
변인 통제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실험에 영향을 끼치는 조건이 무
엇인지 확인하기 어렵다. 이 때문에 실험과 관련된 조건을 확인하
결론 도출 탐구 설계
고, 변인을 통제해야 함을 안내한다.
• 실험을 계획할 때 생각해야 할 점을 확인해 봅시다.
자료 변환 및 자료 해석 탐구 수행
실험 관찰
- 다르게 해야 할 조건과 같게 해야 할 조건을 확인 • 연역적 탐구 방법의 예: 파스퇴르는 탄저병 예방 백
하여 변인을 통제해야 합니다. 신을 개발할 때 “탄저병 백신을 맞은 가축은 면역이
- 관찰하거나 측정해야 할 것이 무엇인지 확인합니다. 생겨 탄저병 예방에 효과가 있을 것이다.”라는 가설
- 실험에 필요한 준비물을 확인합니다. 을 설정했다. 이후 탐구 설계에 따라 실험을 실시하
- 탐구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적절한 실험 방법을 여 이를 확인했다. 파스퇴르의 실험은 연역적 탐구
정하고, 실험 과정 등을 구체적으로 정합니다. 방법에 의해 이루어졌다.
- 실험하면서 지켜야 할 안전 수칙을 생각합니다.
① 자연 현상 탄저병으로 인해 수많은 가축이 떼죽음을
관찰 당했다.
형성 평가
② 문제 인식 탄저병 백신이 탄저병을 예방할 수 있을까?
1 관찰한 사실이나 경험을 바탕으로 하여 탐구 문제에
탄저병 백신을 맞은 가축은 면역이 생겨 탄
대한 잠정적인 결론을 내려 보는 것을 무엇이라고 하 ③ 가설 설정
저병 예방에 효과가 있을 것이다.
는지 써 봅시다.
1. 48`마리의 양을 두 집단으로 구분한다.
( 가설 설정 ) 2. 한 집단에는 탄저병 백신을 주사하고,
풀이 가설은 탐구 문제에 대하여 옳은지 그른지 모르지만 잠정 다른 집단에는 탄저병 백신을 주사하지
적인 결론을 내려 보는 것이다. ④ 탐구 설계 않는다.
3. 일정 시간이 지난 뒤 두 집단에게 모두
2 실험 계획을 세울 때 생각해야 할 점으로 옳은 것에 탄저균을 주사하고 양들의 건강 상태를
◯표, 옳지 않은 것에 ×표 해 봅시다. 관찰한다.
⑤ 탐구 수행 실험 계획에 따라 실험을 수행한다.
⑴ 자연 현상을 관찰할 때 생긴 궁금한 점 ( × )
⑵ 다르게 하거나 같게 해야 할 조건 ( ◯ ) ⑥ 자료 변환 탄저병 백신을 맞은 양들은 모두 건강했지만,
및 자료 탄저병 백신을 맞지 않은 양들은 탄저병에 걸
⑶ 관찰하거나 측정해야 할 것 ( ◯ )
해석 렸다.
풀이 자연 현상을 관찰할 때 생긴 궁금한 점은 문제 인식에 해당
⑦ 결론 도출 탄저병 백신은 탄저병 예방에 효과가 있다.
한다.
1. 과학자의 탐구 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