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79 - ele_science_5-1_tutor
P. 79
수업 흐름
➋ 과학자의 가설을 검증할 수 있는 실험 계획 세우기
도입 • 파스퇴르는 가설이 맞는지 확인하기 위해 어떻게 실험
계획을 세웠을지 이야기해 봅시다. 실험 관찰
과학자의 탐구 문제 떠올리기
수업 도우미 실험 계획을 돕는 질문 1
• 파스퇴르가 궁금해했던 점은 무엇이었나요? 단원
실험을 통해 확인하고 싶은 점을 분명히 인식하고 실험 계획을 구
- 독성이 약한 콜레라균을 주사한 닭들이 콜레라를
체적으로 세울 수 있게 다음과 같은 질문을 활용할 수 있다.
가볍게 앓고 건강해진 까닭을 궁금해했습니다. • 가설을 확인하기 위해 어떻게 실험해야 할까?
• 파스퇴르가 정한 탐구 문제는 무엇이었나요? • 실험에서 다르게 해야 할 조건과 같게 해야 할 조건은 무엇일까?
- “왜 독성이 약한 콜레라균을 주사한 닭들은 건강 • 실험에서 관찰하거나 측정해야 할 것은 무엇일까?
해졌을까?”라는 것입니다. • 실험에 필요한 준비물은 무엇이 있을까?
수업 도우미 도입을 위한 활동 • 실험은 어떤 순서로 진행하는 것이 좋을까?
• 이전 차시에서 학습한 파스퇴르가 연구를 하며 궁금해했던 점을 • 실험을 하면서 지켜야 할 안전 수칙은 무엇일까?
이야기하게 한다.
• 문제 인식의 뜻을 이해하고 있는지 확인하고, 파스퇴르의 탐구
과학과 핵심 역량 강화를 위한 지도 방안
문제가 무엇인지 질문하여 답하게 한다.
• 과학적 탐구 능력 과학자는 탐구 문제에 대한 가설을
세우고 그 가설을 검증하기 위한 탐구 방법을 계획
전개
한다. 실험에 관련된 조건(실험에서 다르게 해야
➊ 과학자의 탐구 이야기를 읽고 가설 설정하기 할 조건, 실험에서 같게 해야 할 조건), 관찰하
• 이야기를 읽고 파스퇴르가 탐구 문제를 해결하려고 거나 측정해야 할 것 등을 구체적으로 정할 수 있게
세운 가설이 무엇인지 생각해 봅시다. 지도한다. → 질문 예시: 파스퇴르의 실험을 계획
수업 도우미 가설 세우기 할 때 생각할 점은 무엇인가요?
가설은 변인들 사이의 관계를 검증이 가능한 형태로 설정해야 하므 • 과학적 의사소통 능력 모둠원과 실험 계획을 세우는
로 일반적으로 관찰, 측정, 추리, 예상보다 더 통제되어 있고 더 조작
과정에서 다른 학생들의 의견을 개방적인 태도로
적이어야 한다. 이는 가설이 탐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잠정적인
듣고, 자신의 의견을 설명할 수 있게 한다.
결론이나 원인을 제안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가설 설정이
추리 또는 예상과 차이가 있음을 지도하되, 초등 수준에서는 가설
설정과 추리, 예상을 엄격하게 구분하는 데 초점을 두기보다는 실험 평가 기준 예시_관찰 평가(모둠 평가)
결과를 예상하는 정도로 가설을 세울 수 있게 지도할 수 있다.
방법 요소 평가 기준 상 중 하
• 파스퇴르가 탐구 문제를 해결하려고 세운 가설은
파스퇴르의 가설을 생각해 보는 활
무엇인가요? 실험 관찰
동에 흥미와 호기심을 가지고 참여했
- “독성이 약한 콜레라균을 주사한 닭은 독성이 는가?
태도
약한 콜레라균을 주사하지 않은 닭보다 콜레라에 가설이 맞는지 확인하기 위한 실험
걸리지 않을 것이다.”라는 것입니다.
관찰 계획을 세우는 활동을 할 때 모둠원
수업 도우미 가설 설정을 어려워하는 학생들을 위한 안내 평가 과 협력했는가?
• 초등학교에서는 학생들의 경험과 지식 수준에 따라 탐구 문제 실험에서 다르게 해야 할 조건과 같
탐구
에 대한 잠정적인 결론을 포함한 가설을 설정하기 어려울 수 있
게 해야 할 조건을 정했는가?
다. 따라서 학생들의 지식 수준에 따라 단계적으로 실험 결과를
가설 설정과 변인 통제가 무엇인지
미리 예상하는 수준에서 그 까닭을 설명해 보게 한다. 지식
설명할 수 있는가?
• 가설은 다음과 같은 형태의 문장으로 진술할 수 있게 구체적으로
안내할 수 있다. 평가 피드백 파스퇴르의 실험 계획에 포함되어야 할 것이 잘 정리되
어 있는지 확인한다. 특히 실험에서 다르게 해야 할 조건과 같게 해야
( 독립변인 )이  ̄하면  ̄해서 ( 종속변인 )이  ̄할 것이다.
할 조건 등이 적절한지 점검하게 한다.
1. 과학자의 탐구 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