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89 - ele_science_5-2_tutor
P. 89
수업 흐름
2 탐구 과정을 잘 전달할 수 있는 방법을 정해 봅시다.
실험 관찰
도입
- 모둠에서 만든 간이 청진기의 실제 완성 모습을
탐구 결과 발표 방법 알아보기 보여 주고, 시청각 자료를 사용해서 발표하겠습
1
• 탐구 결과를 발표하기 위해서 무엇을 해야 할까요? 니다. 단원
- 우리 모둠의 탐구 과정을 되돌아봅니다. 수업 도우미 발표 방법 정하기
- 탐구 과정을 잘 전달할 수 있는 발표 방법을 정합 • 탐구 과정을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방법을 정하게 한다.
니다. • 시청각 설명, 포스터 전시, 동영상 발표 등이 많이 이용되며,
시연이나 실물 전시 등의 방법을 이용할 수 있음을 안내한다.
- 탐구 과정이 잘 드러나게 발표 자료를 만듭니다.
• 동영상 발표가 필요한 경우 미리 발표에 사용할 스마트 기기,
• 탐구 결과를 발표하는 방법에는 어떤 것이 있을까요?
모니터 등을 점검하여 원활한 발표가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
- 시청각 설명, 포스터 전시, 시연, 동영상 발표 등이
3 탐구 결과를 정리하여 발표 자료를 만들어 봅시다.
있습니다.
- 간이 청진기를 만드는 순서는 탐구를 실행하면서
수업 도우미 탐구 발표 방법 알아보기
찍어 둔 사진을 활용하여 정리했습니다.
발표 방법에 대한 사전 지식이 없는 학생들은 『과학』 15`쪽에
- 간이 청진기의 진동판 재료에 따른 소리의 세기를
제시한 다양한 발표 방법 중 자신의 탐구 내용을 효과적으로 전달
할 수 있는 발표 방법을 선택하게 안내한다. 측정한 값을 표로 정리해 탐구 결과에 넣었습니다.
수업 도우미 발표 자료 만들기
• 발표 자료를 만들고 발표하는 활동에 모둠원 모두가 적극적으로
참여하게 독려하며 역할을 분담하여 수행하게 한다.
• 발표 자료 제작 시간이 많이 소요될 경우 일부를 과제로 제시할
전개 수 있으며, 교사가 예시 자료를 제시하여 발표 자료 제작에 참고
➊ 탐구 결과 발표하기 하게 할 수 있다.
4 탐구 결과를 발표하고 친구들의 질문에 답해 봅시다.
실험 관찰
탐구 결과 발표하기
- 발표가 끝난 뒤 『실험 관찰』 13`쪽의 발표 점검표를
‣ 구성 의도 발표 자료를 만들어 친구들에게 탐구 결과를 작성하며 탐구 결과를 되돌아봤습니다.
발표하고, 각 모둠의 탐구 과정과 결과를 점검할 수 있게 5 다른 모둠의 발표를 듣고 궁금한 점을 질문해 봅시다.
하였다. 수업 도우미 발표 평가하기 실험 관찰
‣ 탐구 목표 탐구 과정이 잘 드러나게 발표 자료를 만들고 • 친구들의 발표를 듣고 『실험 관찰』 13`쪽의 발표 점검표를
알맞은 방법으로 탐구 결과를 발표할 수 있다. 작성하며 탐구 과정의 전반적인 사항을 점검하게 한다.
‣ 탐구 유의 사항 탐구 결과 발표를 위해 교사는 발표 시기 • 다른 모둠이 발표할 때 궁금한 점을 기록하면서 주의 깊게
및 장소를 미리 공지한다. 학생들에게 발표 시간, 발표 듣게 한다.
방법, 발표 형식 등을 구체적으로 안내해 원활한 발표 • 발표 내용에 대해 질의응답할 때 상호 존중하는 분위기에서
활발한 의사소통이 이루어지게 허용적인 분위기를 조성한다.
준비가 이루어지게 한다.
어떻게 할까요
1 탐구 과정을 떠올리며 탐구한 내용을 정리해 봅시다. 과학과 핵심 역량 강화를 위한 지도 방안
•발표 자료에는 어떤 내용이 들어가야 할까요? • 과학적 문제 해결력 탐구의 과정을 잘 나타낼 수 있는
- 우리 모둠의 탐구 문제, 준비물, 탐구 순서, 예상 발표 방법을 정해 발표 자료를 만들게 한다.
결과, 탐구 결과, 탐구를 통해 알게 된 것 등이 • 과학적 사고력 발표 자료를 만들며 탐구 과정을 되돌
들어가야 합니다. 아보고 정리하게 한다.
- 탐구를 하면서 느낀 점을 쓸 수 있습니다. • 과학적 의사소통 능력 탐구 결과를 발표하고 잘된 점,
- 더 탐구하고 싶은 것을 쓸 수 있습니다. 보완할 점, 궁금한 점에 대해 의견을 나누게 한다.
1. 재미있는 나의 탐구 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