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84 - ele_science_5-2_tutor
P. 84

3     ~4

          1 2                   5 6    차시                                      『과학』  12 쪽~13 쪽  『실험 관찰』  11 쪽



                  3   탐구를 실행해 볼까요                                  를  실행할 때
                                                                     이렇게 해요
                                                                                                    나는
                                                                                   내가
                                                                                  간이 청진기를         탐구 과정을 사진으로
                                                                 1  탐구 실행하기        만들게.            찍어 둘게.
                       나라네 모둠은 청진기의 진동판에 어떤 재료를 사용해야 소리가
                                                                        탐구 계획에 따라 탐구를 실행합니다.
                      더 크게 들리는지 알아보기로 하고 탐구 계획을 세웠습니다. 탐구 계획에
                                                                        탐구 결과를 사실대로 빠짐없이 기록합니다.
                      따라 준비물을 확인하고, 주의할 점을 생각하며 탐구 활동을 해 봅시다.
                                                                    도움말
                                                                   사진이나 동영상을 찍어 탐구 활동 내용을 기록합니다.
                 측정, 변인 통제
                        『실험 관찰』 11 쪽       탐구 능력  문제 해결력
                      진동판의 재료에 따른 소리의 세기 측정하기
              안전        준비물     플라스틱 깔때기 네 개, 비닐관(50`cm) 네 개, 귀 꽂이 네 개, 고무풍선, 종이, 비닐 랩,   소리가 크게   고무풍선  알루미늄박
                          알루미늄박, 가위, 셀로판테이프, 절연 테이프, 뚜껑이 있는 통, 스펀지, 스피커, 스마트       우리의 예상과
            가위 등 날카로운 도구를 사용                                     들리는 진동판의
            할 때에는 면장갑을 착용하고,   기기, 면장갑                           재료는 뭐였지?  종이  비닐 랩  다른 결과가 나온 까닭은   2  탐구 결과 정리하기
            다치지 않게 주의해요.                                                            무엇일까?
                      어떻게 할까요
                                                                                               탐구를  하여  얻은  자료를  표와
              도움말     1   진동판의 재료를 다르게 하여 간이 청진기를 만듭니다.                                   그래프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 깔때기에 재료를 씌울 때에는   1    고무풍선을 잘라 깔때기의 윗부분에 씌웁니다.  진동판                             예상한 결과와 실제 탐구 결과를
             팽팽하게 당겨서 주름진 곳이                                                              비교해 봅니다.
             없게 해요.     2    깔때기의 아랫부분에 비닐관의 한쪽 끝을 끼운 뒤 절연 테이프를 감아 고정
            • 스피커에서 일정한 세기의   합니다.                                                             탐구를 하면서 알게 된 점을 정리
             소리가 반복해서 나게 해요.                                                              합니다.
                        3    비닐관의 반대쪽에 귀 꽂이를 끼워 간이 청진기를 만듭니다.
                        1    고무풍선  2       3  귀 꽂이
                                      절연 테이프
                        깔때기
                                                                  3     1 에서 만든 간이 청진기의 진동판은 각각 뚜껑이 있는 통의 뚜껑에
                                                                   대고, 귀 꽂이는 스마트 기기의 마이크 부분에 닿게 합니다.
                                                                  4    진동판의 재료에 따른 소리의 세기를 측정하고 기록합니다.
                        4    종이, 비닐 랩, 알루미늄박을 깔때기의 윗부분에 각각 씌우고,  2  ~ 3  을 반복     소리의 세기가 가장 컸을 때의 값을 기록합니다.

                         합니다.
                                                                                       간이 청진기
                                                                3   탐구를 하면서 알게 된 점을 정리해 봅시다.
                      2   스마트 기기를 이용하여 진동판의 재료에 따른 소리의 세기를 측정합니다.
               소리의 세기를   1    뚜껑이 있는 통 안쪽의 바닥과 옆면을 스펀지로 감싼 뒤 스피커를 넣고 뚜껑을
             측정하는 애플리케이션에   닫습니다.                                    스피커
              나타나는 숫자가 클수록   2    스마트 기기로 스피커에서 소리가 나게 하고, 소리의 세기를 측정하는 애플     뚜껑이 있는 통
              큰 소리를 뜻해요.
                         리케이션을 실행합니다.
                                                                         스펀지
           12 12                                                                     스마트 기기                13 13
         초등과학5-2_①단원(07~16)OK.indd   12             2022-06-09   오후 5:35:47 초등과학5-2_①단원(07~16)OK.indd   13  2022-06-09   오후 5:35:52
            차시   운영 방안
                                                               과학과 핵심 역량 및 평가 방법
              학습 목표
                                                              핵심 역량    과학적 탐구 능력, 과학적 문제 해결력
               탐구 계획에 따라 탐구를 실행할 수 있다.
                                                              평가 방법    관찰 평가(모둠 평가)
              수업 흐름
                                                               지도상의 유의점
             도입    학습 목표를 확인하고, 탐구 실행 준비하기
             (10 분)                                          •  교과서에 제시된 탐구 활동은 하나의 예시이므로
                                                               차시 운영, 준비물, 탐구 방법 등을 학교 및 학급별
             전개     탐구  진동판의 재료에 따른 소리의 세기 측정하기                상황에 맞게 수정하여 활동할 수 있다.
            (60 분)
                                                             •  탐구 계획에 따라 탐구를 실행하게 하며, 탐구 결과가
             정리    탐구 결과 정리하기
             (10 분)                                            예상한 대로 나오지 않더라도 있는 그대로 기록해야
                                                               함을 인식할 수 있게 지도한다.
              수업 전 확인 사항                                     •  탐구를 실행하는 동안 자료를 수집하고 기록하게 한다.
               12`쪽  탐구  준비물은 아래와 같이 준비한다.                     특히 활동 내용을 사진이나 동영상으로 남기면 탐구
                                                               결과 발표 시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음을 알려 준다.
               모둠별  플라스틱 깔때기 네 개, 비닐관(50`cm) 네 개,
              귀 꽂이 네 개, 고무풍선, 종이, 비닐 랩, 알루미늄박,
                                                               전자 저작물 이용
              가위, 셀로판테이프, 절연 테이프, 뚜껑이 있는 통, 스
              펀지, 스피커, 스마트 기기                                 멀티미디어 자료     개념 영상, 실험 영상
               개인별  면장갑                                      교수 · 학습 자료실   학습 지도안, 수업 PPT, 형성 평가



           82     제 2 부 지도의 실제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