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87 - ele_science_5-2_tutor
P. 87
2 스마트 기기를 이용하여 진동판의 재료에 따른 소 평가 기준 예시_관찰 평가(모둠 평가)
리의 세기를 측정합니다. 실험 관찰 방법 요소 평가 기준 상 중 하
① 뚜껑이 있는 통 안쪽의 바닥과 옆면을 스펀지로 모둠원 모두 역할을 충실히 수행하며
태도
감싼 뒤 스피커를 넣고 뚜껑을 닫습니다. 탐구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했는가? 1
단원
② 스마트 기기로 스피커에서 소리가 나게 하고, 소리
관찰 탐구 계획에 따라 탐구를 실행하여
의 세기를 측정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합니다. 평가 탐구 탐구 문제를 해결했는가?
안전 도우미 스피커에서 갑자기 큰 소리가 나게 하는 등 장난을 탐구 과정을 순서에 맞게 설명할 수
지식
치지 않게 한다. 있는가?
③ 1에서 만든 간이 청진기의 진동판은 각각 뚜껑이
평가 피드백 탐구 실행 과정에서 모둠원의 역할 분담 및 참여도와 관
있는 통의 뚜껑에 대고, 귀 꽂이는 스마트 기기의
련된 태도를 중점적으로 평가한다.
마이크 부분에 닿게 합니다.
정리
④ 진동판의 재료에 따른 소리의 세기를 측정하고
기록합니다. 탐구 결과 정리하기
수업 도우미 소리의 세기를 측정할 때 유의점 • 탐구를 실행하는 과정에서 수집한 자료와 탐구 결과를
• 소리의 세기를 측정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은 스마트 기기에 모둠별로 정리해 봅시다.
서 ‘소리 세기 측정’, ‘소음 측정기’ 등을 검색하여 찾을 수 있다. - 여러 번 측정하고 탐구 결과를 그때그때 정리했습
스마트 기기에 설치한 뒤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소리를
니다.
내면 소리의 세기가 수치로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 탐구 결과를 사실대로 기록했습니다.
• 소리의 세기를 측정하는 애플리케이션은 주변의 작은 소리에
수업 도우미 탐구를 실행하면서 수집한 자료를 체계적으로 정리
도 민감하게 반응하므로 주변을 조용하게 한 상태에서 소리의
하여 다음 시간에 이어지는 탐구 결과 발표하기의 자료로 활용할
세기를 측정한다.
수 있게 안내한다.
• 소리의 세기를 측정할 때에는 소리의 세기가 가장 컸을 때의
값을 기록하게 하는 등 측정 기준을 사전에 안내한다.
형성 평가
• 스피커에서 나는 소리는 일정한 소리가 반복해서 나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1 다음은 ‘진동판의 재료에 따른 소리의 세기’를 알아보
• 뚜껑이 있는 통의 같은 부분에 간이 청진기의 진동판을 대고 는 탐구를 한 뒤 학생들이 나눈 대화입니다. 잘못된
소리의 세기를 측정한다. 부분을 찾고 그 까닭을 설명해 봅시다.
• 반복하여 측정하면 더 정확한 값을 얻을 수 있다.
3 탐구를 하면서 알게 된 점을 정리해 봅시다. 실험 관찰 • 나라: 간이 청진기의 진동판은 뚜껑이 있는 통의
같은 부분에 접촉해야 해.
- 탐구 결과: 진동판에 비닐 랩을 사용했을 때 소리의
• 우리: 소리의 세기는 딱 한 번만 측정해야 해.
세기가 가장 큽니다.
• 만세: 진동판에 재료를 씌울 때 팽팽하게 당겨서
- 알게 된 점: 진동판에 얇고 크게 떨리면서 원래 모
주름지지 않게 해야 해.
습을 잘 유지하는 재료를 사용하면 소리가 더 크게
들립니다.
예시 답안 우리의 “딱 한 번만 측정해야 해.”가 잘못되었다. 탐구를
할 때 여러 번 측정하면 정확한 값을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풀이 탐구를 하면서 반복하여 측정하면 더 정확한 탐구 결과를
과학과 핵심 역량 강화를 위한 지도 방안
얻을 수 있다.
• 과학적 탐구 능력 탐구 계획에 따라 탐구를 실행하고
탐구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한다. 채점 기준 배점(%)
• 과학적 문제 해결력 탐구 과정 중 변인 통제나 측정 잘못된 부분을 찾고, 그 까닭을 옳게 설명한 100
경우
방법에 문제가 생겼을 때 모둠원끼리 토의를 통해
가능한 해결 방법을 찾게 한다. 잘못된 부분만 찾은 경우 30
1. 재미있는 나의 탐구 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