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91 - ele_science_5-2_tutor
P. 91

평가 기준 예시_관찰 평가, 발표 평가                           참고  자료

                  방법 요소             평가 기준            상 중 하
                                                                  탐구 결과 발표 방법
                           친구들의 발표를 듣고 궁금한 점에                     • 시청각 설명: 시청각 설명은 컴퓨터를 활용한 가장 익
                      태도                                                                                           1
                           대해 의견을 나누었는가?
                                                                    숙하고 보편적인 발표 방법이다. 프레젠테이션, 한글,
                                                                                                                   단원
                  관찰       탐구 과정과 탐구 결과가 잘 드러나는                     피디에프(PDF) 등을 활용하여 발표한다. 발표 자료
                      탐구
                  평가       발표 자료를 만들었는가?
                                                                    제작 시 프로그램의 기능을 지도해야 하는 어려움이
                           탐구 내용을 정리하여 설명할 수 있
                      지식                                            있지만 문자뿐만 아니라 그림, 표, 그래프, 동영상,
                           는가?
                                                                    사진 등을 자유롭게 추가하여 발표의 효과를 높일 수
                           탐구 과정이 잘 드러나며 이해하기
                                                                    있다. 발표 자료는 탐구의 과정이 일목요연하고 일관
                           쉽게 구성하였는가?
                                                                    성 있게 보이도록 요약하여 구성한다.
                  발표 평가 탐구 결과를 효과적으로 전달하는
                                                                  • 포스터 전시: 실제 과학자들이 학술 대회에서도 많이
                           방법이었는가?
                                                                    사용하며 학생들에게도 효과적인 발표 방법이다. 포
                           알맞은 목소리와 태도로 발표했는가?
                                                                    스터를 한 모둠씩 칠판에 붙이고 학급 전체를 대상으
                 평가 피드백  평가 방법 및 평가 기준을 학생들에게 사전에 안내하고              로 발표할 수도 있지만, 전체 모둠의 포스터를 교실
                 평가를 진행한다. 발표 자료에 탐구 문제, 탐구 순서, 예상 결과, 탐구           벽에 붙이고 모두가 돌아가며 발표를 하거나 듣는 것
                 결과, 탐구를 통해 알게 된 것, 더 탐구하고 싶은 것 등을 포함하여 탐구
                                                                    도 가능하다. 학교에서는 모둠원 중 일부가 포스터
                 과정과 탐구 결과를 효과적으로 발표했는지에 중점을 두고 평가한다.
                                                                    앞에서 발표자의 역할을 맡고 나머지 학생들은 다른

                 ➋ 탐구 결과 발표 점검하기                                    모둠의 포스터에 앞에 가서 설명을 듣고 질문과 토론
                                                                    을 하는 것도 가능하다.
                 •  친구들과 의견 나눈 것을 바탕으로 우리 모둠이 탐구에
                                                                    포스터 발표를 하기 전에는 포스터 양식과 작성 방법
                   서 잘한 점과 보완할 점을 찾아봅시다.           실험 관찰
                                                                    을 사전에 안내해 주어야 하며, 포스터를 전시할 장
                   -   발표 자료를 이해하기 쉽게 만들었습니다.
                                                                    소를 미리 준비해야 한다. 포스터의 크기가 제한적
                   -   탐구를 실행할 때 역할 분담을 잘했으나 탐구 결과
                                                                    이기 때문에 포스터를 전시할 공간 구성 및 배치에도
                     발표 시 몇 명만 발표했습니다.
                                                                    신경 써야 한다.
                                                                    포스터 만들기 활동은 그 자체가 학생들의 동기 유발
                  정리
                                                                    에 효과적이고, 발표 이후에도 포스터를 교실에 전시
                 새로운 탐구 문제 정하기                                      하여 지속적인 점검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생 각 각해  볼까요                                      • 시연 및 시범: 탐구 내용을 말로 표현하기 어려운 경
                 생
                      탐구를 하면서 생긴 더 궁금한 것을 친구들과 이야기                  우 효과적인 발표 방법이다. 실물 혹은 실험 장면을
                   해 봅시다.                                           직접 보여 주며 사람들의 관심과 흥미를 유발할 수

                   -   연결관의 재료에 따라 청진기로 전달되는 소리의                    있다. 사전에 철저하게 준비하여 발표 시간이 부족하
                     세기가 달라질까?                                      거나 남지 않게 해야 한다. 청중들을 시연 및 시범 활
                   -   연결관의 길이가 짧아지면 청진기로 전달되는 소                    동에 참여하게 하여 관심과 흥미를 유발할 수도 있다.
                     리의 세기가 커질까?                                    다른 발표 방법과 함께 시행하면 더욱 효과적이다.
                   -   귀 꽂이가 한 개일 때와 두 개일 때 청진기로 전달               • 동영상 발표: 시청각 설명이나 포스터 발표에서는 잘
                     되는 소리의 세기가 다를까?                                구현하지 못하는 탐구 과정을 표현할 수 있다는 장점
                      궁금한 것을 정리해 새로운 탐구 문제로 정해 봅시다.                 이 있다. 영상을 제작할 때에는 화려함이나 재미보다
                                                        실험 관찰       는 탐구 과정과 결과가 잘 나타나도록 하는 것이 중
                   -   “청진기의 연결관에 어떤 재료를 사용해야 소리가                   요함을 충분히 안내해야 한다.
                     더 크게 들릴까?”를 탐구 문제로 정했습니다.                                              (출처: 양일호 외 6`명, 2010)


                                                                                        1. 재미있는 나의 탐구    89
   86   87   88   89   90   91   92   93   94   95   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