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89 - ele_society_5-2_tutor
P. 89

이러한 모의재판은 진행 방식에 따라 다음의 세 가지가 있다.

                                    ①  대본식 모의재판: 발언할 내용을 대본으로 상세히 작성하고, 충분히 숙지한 후에 대본
                                      의 내용을 읽거나 암기하여 발언하는 형태의 모의재판

                                    ②  역할놀이식 모의재판: 정해진 대본 없이 미리 학습된 재판의 절차에 따라 즉흥적으로
                                      진행되는 모의재판

                                    ③  배심제 모의재판: 재판에 참여하는 학생들을 제외한 학생들이 배심원이 되어 법관과
                                      함께 재판부에 참여하는 방식의 모의재판

                                     모의재판의 학습 과정은 실제 재판의 절차와 같은 방법으로 이루어진다. 형사 재판의
                                    진행 절차를 예로 들면 ‘판사 입장 → 개정 선언 → 피고인 신문 → 변호인 반대 신문 →
                                    증거 조사 → 검사 논고(구형) → 변호인 최종 의견 진술 → 피고인 최후 진술 → 판사의
                                    판결 → 폐정 선언’ 순서로 전개된다. 모의재판 운영 시 유의 사항은 다음과 같다(박인현,

                                    2012: 362∼363).
                                    ① 학습자 모두 활동에 참여할 수 있는 분위기를 조성한다.
                                    ② 조별로 나누어 모의재판을 준비하도록 하여 많은 학습자가 참여할 기회를 제공한다.
                                    ③  모의재판의 내용을 준비하는 데 어려움을 겪지 않도록 미리 예를 하나 보여 주거나 교

                                      사가 참여하여 함께 내용을 짜도록 한다.

                                    ④  모의재판을 실연하는 데 필요한 재료들(법복, 법대 등)을 준비하여 재판의 분위기를

                                      살리도록 한다.

                                     자원 인사 초빙 학습

                                     자원 인사 초빙 학습은 학습시키고자 하는 내용 및 상황에 대하여 교사보다 잘 알고 있
                                    거나, 전문적 지식 또는 풍부한 경험이 있는 그 분야의 실재 인물을 초빙하여 학습에 활
                                    용하는 방법을 말한다. 자원 인사 초빙 학습의 장점으로는 다음을 들 수 있다.

                                     학생들이 자원 인사와 직접 대면하여 궁금한 것을 질문하고, 보충 설명을 들을 수 있으
                                    며, 화제의 방향을 융통성 있게 조절함으로써 학생들의 호기심과 흥미를 유발할 수 있다.
                                    이러한 특징은 시청각 자료가 갖는 경직성 또는 일방통행적인 의사 전달에서 오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견학이 여의치 못한 경우 대체할 수 있는 수월한 학습 방법이
                                    다. 자원 인사 초빙 학습의 과정은 대체로 ‘학습 문제의 결정 → 자원 인사의 선정 → 자원

                                    인사와 교섭 및 협의 → 학습 목표의 재확인 → 자원 인사의 이야기 청취 및 질의응답 →
                                    학습 정리’ 순서로 전개된다(한면희, 2006: 320).



















                                                                                                           87
                                                                                         3. 사회과의 교수 · 학습 방법
   84   85   86   87   88   89   90   91   92   93   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