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84 - ele_society_5-2_tutor
P. 84
단계 주요 내용 교수·학습 활동 유의점
• 개인별 형성 평가하기
개별 형성 평가 - 고려 시대의 외침과 그 극복 과정에 관해 제대 학생의 실제 점
6. 개별 평가
로 공부하였는지 평가한다. 수는 공개하지
및 집단 않고 향상된 점
보상 • 집단 보상하기
집단 보상 - 각 학생의 향상 점수를 합한 모둠 점수가 10점 수만 활용한다.
이상인 모둠에 칭찬 점수를 부여한다.
3 교수·학습 조사 학습
방법
조사 학습은 사회과에서 유용한 학습 형태로서 문제 해결 과정에서 자료 수집에 활용
된다. 과제 학습, 자율 학습과도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때로는 분단 학습 및 토의 학습과
병행되기도 한다. 조사 내용이 학습자의 성장 발달 수준에 적합하기만 하다면 조사 학습
은 치밀한 계획과 활동을 위한 훌륭한 교육적 경험이 된다. 그러므로 조사 학습에는 지역
사회 자료를 계획적으로 관찰, 접촉하는 활동이 뒤따라야 한다. 조사 학습은 다음과 같은
교육적 의의와 가치를 갖는다(김현석, 2005: 274).
① 생활에서 일어나는 문제의 상호 관계 또는 복잡한 지역 사회의 구성과 과정에 관한 종
합적인 이해를 하게 한다.
② 중요한 지역 사회의 문제와 경향에 대한 통찰을 고취한다.
③ 지역 사회에 직접 참여할 기회를 제공한다.
④ 사회생활에 있어 상호 의존, 협력의 필요성을 깨닫게 한다.
⑤ 현실 문제에 대한 비판과 상황 판단을 할 수 있게 한다.
현장 학습
아이들이 교실을 떠나 사회 사상(社會事象)을 ‘관찰’, ‘조사’ 혹은 그 사상과 관련이 있는
사람과 ‘면접’하는 등의 학습 활동이 현장 학습이다. 야외 관찰, 야외 조사 등으로 불리기
도 한다(최용규 외, 2014: 311). 현장 학습은 사회 현상에 대한 이론적 지식을 구체적 실
천과 연결 지어 사회과 교수·학습 과정에 도입함으로써 개인과 사회, 이론과 실천, 추상
과 구체성 간의 대화를 가능하게 하여 학습자에게 시민성을 형성하게 해 주는 학습 방법
이다(김용신, 2003: 24). 현장 학습은 다음과 같은 교육적 의의를 지니고 있다(최용규 외,
2014: 311).
① 직관적 원리에 기반을 두고 있다.
② 아동이 직접 조사, 관찰하여 자료를 얻게 되므로 제1차 자료 획득의 기능이 발달할 수
있다.
③ 아동이 흥미와 관심을 갖고 주체적으로 학습 문제에 도전할 수 있다.
④ 학교와 지역 사회를 밀접하게 연계할 수 있다.
⑤ 교실에서 배운 지식을 실제의 생활 환경에서 적용하므로 학습 결과와 학습자 생활과의
정합성을 높일 수 있다.
82 총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