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85 - ele_society_5-2_tutor
P. 85
⑥ 다양한 학습 유형과 학습 기회를 경험할 수 있다.
⑦ 협동심, 사회 참여 기능의 신장 등 정의적 영역에서 바람직한 태도를 형성할 수 있다.
현장 학습은 학습자가 생생한 현상에 직면하게 함으로써 생활 경험과 시야를 넓히고,
사상 간의 관계를 더 잘 이해할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중요한 목적이 있다. 현장 학습 시
에는 다음 사항에 유의해야 한다(한면희, 2006: 315∼317).
① 현장 학습의 목적을 분명하게 주지하도록 한다.
② 현장 학습 장소에 대한 예비 조사를 통하여 세밀한 계획서를 세우고, 그 계획서의 실
천에 차질이 없도록 한다.
③ 준비물을 점검하고, 현장 학습 지역에 대한 예비지식을 갖도록 한다.
④ 현장 학습은 학습 환경이 산만하고 시야가 광범하여 엉뚱한 사항을 관찰할 우려가 있
으므로, 담당한 내용과 관찰 조사의 핵심을 분명히 파악하도록 한다.
⑤ 질문의 요령, 견학 시의 예절, 집단생활에서의 규칙 준수, 교통안전 수칙, 견학 지역에 대
한 협조 의뢰 편지, 견학 후의 감사장 발송 등 올바른 사회생활의 경험을 쌓도록 한다.
⑥ 수집된 자료의 결과와 원인 등을 생각해 보는 과학적 태도를 갖도록 한다.
사료 학습
사료 학습은 과거의 기록에서 역사적 사실을 확인하고, 그 내용에 대한 해석을 통해
당시의 사회상을 재구성하여 거기에 역사적 의미를 부여하는 학습 방법이다(정선영 외,
2012: 152∼153). 사료 학습은 사료에서 사실과 견해를 구별하고, 사실에 대해 다양한
해석이 가능하며, 역사가 계속 다시 쓰여질 수 있다는 것을 인식시켜 줌으로써 역사적 사
고력을 길러 줄 수 있다.
<사료의 분류>
형태상의 분류 제작 시기(가치)에 따른 분류
• 문헌 및 문서 자료 • 1차 사료(원사료) : 역사적 사실이 일어난 것과 거의 같은 시기에 제작된 유물
• 구비전설 이나 쓰인 저작물
• 유물 및 유적 자료 • 2차 사료: 역사적 사실이 일어났던 시기보다 나중에 만들어진 자료(1차 사료
• 언어 및 문학적 자료 에 대한 설명, 판단, 견해 등이 담겨 있음.)
사료 활용의 교육적 의의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최용규 외, 2014: 332).
① 사료를 직접 대하고 경험함으로써 역사에 관한 관심과 흥미를 불러일으키고 지적 호기
심을 유발할 수 있다.
② 사료를 접하여 분석·비판·해석·종합해 봄으로써 사상(事象)을 공정하게 판단하고 이
해할 수 있다.
③ 사료를 접하여 역사적 연구의 방법을 체득함으로써 사실을 객관적으로 인식하고 역사
적 태도와 능력, 역사의식과 역사적 사고력을 기를 수 있다.
④ 다양한 사료를 활용하여 사실을 실증적으로 파악함으로써 학습의 파지가 오랫동안 계
속될 수 있다.
83
3. 사회과의 교수 · 학습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