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88 - ele_society_5-2_tutor
P. 88
시뮬레이션 게임
사회과 학습 기법으로서의 시뮬레이션 게임(simulation game)은 게임 형식 안에서 문
제 해결 경험을 제공하도록 만들어진 것이다. 실제 세상에 존재하고 있거나 존재했던 어
떤 현상, 사건 또는 이슈에 대한 설명을 제공한다. 즉 가능한 한 실제 상황과 유사하게 묘
사되도록 하여야 하며 역사적 사건이나 국제적 사건, 가족 문제, 학교, 정치 혹은 어떠
한 사회 활동이든 재현을 통하여 모든 학생이 의사 결정을 경험할 수 있게 해 준다(전숙
자, 2002: 383∼385). 이 학습 과정에는 대립적 요소 간의 갈등 상황이 있고, 경기자들
의 행위를 규제하는 규칙이 있으며, 분명한 종결과 더불어 승자가 패자를 결정하는 명확
한 방법이 있다. 그리고 현실 생활과 구분되는 인위적 활동으로 고안되며, 역할, 규칙, 계
열성 등 현실 상황에서의 그것들과 일치하는 특성들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시뮬레이션
게임은 실제 상황은 아니다. 시뮬레이션 게임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한면희, 2006:
353∼354).
① 사회 현상에 관한 용어와 개념을 효과적으로 습득할 수 있다.
② 정보 활용 능력을 습득하고 사회 현상에 관한 특수한 사실적 지식을 많이 알 수 있게
된다.
③ 사회의 구조(원리)와 관계를 파악할 수 있다.
④ 학습자들이 앞으로 나타날 결과를 예측할 수 있다.
⑤ 집단에서의 역동적인 관계에 대한 학습을 촉진한다.
⑥ 감정 이입을 통해서 타인을 이해하고 자신의 느낌, 감정, 태도, 신념, 가치 등을 풍부
하게 할 수 있다.
⑦ 사회 현상에 관한 탐구 능력을 신장할 수 있다.
⑧ 학습자들이 행함으로써 배우게 하며 탐구에 대한 동기와 즐거움을 느끼게 하고, 학습
과정에서 일어나는 정서적인 분위기를 인식하게 한다.
시뮬레이션 게임의 설계와 활용에 대한 일반적인 절차는 다음과 같다(한면희, 2006:
355).
<시뮬레이션 게임의 고안과 운영 과정>
Ⅰ. 기본 구상 Ⅱ. 구성 Ⅲ. 실연 Ⅳ. 결과 보고
• 학습 과제 분석
• 게임의 유형 선택 • 전체 과정 안내 • 결과의 요약 보고
• 학습 목표 설정
• 게임의 규칙 설정 • 경기 각회에서 연기 • 실제 세계와의 관련
• 실제 사회적 상황
• 시나리오 작성 • 경기 종료 • 결과의 평가
에서의 소재 선정
모의재판
모의재판은 실제의 재판 과정을 본떠 연습해 봄으로써 법의 원리와 사법 절차를 효과적
으로 학습할 수 있는 수업 방법이다. 모의재판을 준비하고 참여하는 과정에서 학습자들
은 색다른 경험을 하면서 자신감을 얻게 된다. 또한 모의재판 대본을 작성하는 과정에서
그룹별로 사건에 대한 토의·토론을 하면서 법적 판단력, 비판적 사고력을 기를 수 있다.
86 총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