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92 - ele_society_5-2_tutor
P. 92
일반화 지식 평가
일반화 지식이란 사실이나 현상들 사이에 존재하는 일정한 관계나 보편적 질서에 대해
주요 개념들을 사용하여 설명 또는 추론한 지식을 말한다. 사실과 현상 그 자체에 대한
지식, 사실이나 현상 간의 일정한 관계 및 보편적 질서에 대한 지식, 주요 개념에 대한 지
식이 다 함께 결합한 것이다. 일반화 지식의 대표적인 예로는 어떤 현상을 설명하거나 추
론하는 각종의 원리, 이론, 법칙 등이 있으며, 이들에 대한 평가가 일반화 지식 평가이다.
나. 기능 영역의 평가
기능이란 무엇인가를 할 수 있는 능력을 말한다. 사회과에서 기능은 기초 기능, 사고 기
능(사고력), 탐구 기능(탐구력), 사회 참여(의사 결정) 기능 등이 있다. 기능 영역의 평가
는 지식의 습득과 민주적 사회생활을 하는 데 필수적인 정보의 획득 및 활용 기능, 비판
적 사고 기능, 탐구 기능, 의사 결정 기능 등을 평가하는 것이다.
기초 기능의 평가
기초 기능이란 읽기, 쓰기, 셈하기와 같이 기초가 되는 기능으로서 사회과에서는 지도
읽기나 연대기 정리하기, 도표 작성하기 등이 그 예이다. 이들 능력에 대해 평가하는 일
이 기초 기능의 평가이다.
사고 기능(사고력)의 평가
사고 기능이란 지식에 대한 기억이나 이해보다는 정보를 탐구하고 자료를 해석하는 능
력, 주요 개념을 파악하는 능력, 증거를 제시하고 결론을 도출하는 능력, 새로운 상황에
적용하는 능력 등을 포함한다. 이들 능력에 평가하는 일이 사고 기능의 평가이다. 사고
기능을 갖췄다는 것은 자료를 해석하고, 가설을 형성하며, 논리적으로 생각하고, 증거를
바탕으로 결론을 내리는 등의 사고력을 습득했음을 말한다.
탐구 기능(탐구력)의 평가
사회과에서 탐구 기능이란 지리학, 역사학, 제 사회과학의 일반적인 학문적 탐구 기능
을 일컫는다. 대개 탐구 능력에 대한 평가는 6단계로 나눈다(차경수·모경환, 2017). 첫째
문제를 과학적으로 인식하는 능력, 둘째 검증 가능한 가설을 형성하는 능력, 셋째 개념을
형성하는 능력, 넷째 자료를 수집하는 능력, 다섯째 자료의 정확성, 신뢰도, 타당도를 결
정하는 능력, 여섯째 일반화를 서술하는 능력이다. 탐구 학습을 할 때 각 단계에서 문제
해결에 필요한 기능을 평가하는 일이 탐구 기능(탐구력)의 평가이다.
사회 참여(의사 결정) 기능의 평가
사회 참여(의사 결정) 기능이란 공동의 관심사나 과제에 접근하기 위해 다른 사람과 서
로 협력하고 필요에 따라 타협하며 민주적 절차와 원칙에 따라 의사 결정을 내릴 수 있는
기능을 가리킨다. 지역 사회나 국가가 당면한 공동의 문제를 해결하는 데 참여하거나, 그
런 방법을 알고 있는가를 평가하는 일이 사회 참여(의사 결정) 기능의 평가이다.
90 총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