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90 - ele_society_5-2_tutor
P. 90

4              사회과의 평가 방법













            1   평가의             평가란 교육적으로 의도하는 바인 교육 목표에 얼마나 잘 도달하였는가를 판단하는 일
               개념             이다. 평가는 단순히 학습 결과를 측정하는 것에 머물지 않아야 하며, 교육 목표는 물론이

                              고 학습 내용 특성, 학습에 적용된 교수·학습 방법과 유기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는 점이
                              중요하다. 평가의 목적은 일차적으로 학습 목표에 도달 정도를 측정하는 것이지만, 궁극
                              적으로는 학생들의 사고와 개념의 발달 그리고 전인적 성장을 돕는 것이기 때문이다.





            2   평가의             2015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에서 제시하고 있는 사회과의 평가 방향은 다음과 같다.
               방향             (1)  사회과 평가는 교육과정에 제시된 목표와 내용, 교수·학습 방법과의 일관성을 유지하

                                 도록 한다.
                              (2)  사회과 평가는 교육과정에 제시된 목표를 준거로 하여 추출된 내용 요소에 따라 이루

                                 어지도록 한다.

                              (3)  평가는 개개인의 학습 과정과 성취 수준을 이해하고 발달을 돕는 차원에서 실시한다.
                              (4) 학습의 과정 및 학습의 수행에 관한 평가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5)  평가 내용은 지식 영역에만 치우쳐서는 안 되며, 기능과 가치·태도 영역을 균형 있게
                                 선정한다.

                              (6)  지식 영역의 평가에서는 사실적 지식의 습득 여부와 함께 사회 현상의 설명과 문제 해

                                 결에 필수적인 기본 개념 및 원리, 일반화에 대한 이해 정도 등을 평가하는 데 중점을
                                 둔다.
                              (7)  기능 영역의 평가에서는 지식의 습득과 민주적 사회생활을 하는 데 필수적인 정보의

                                 획득 및 활용 기능, 탐구 기능, 의사 결정 기능, 비판적 사고 기능, 집단 참여 기능 등
                                 을 평가하는 데 초점을 둔다.

                              (8)  가치·태도 영역의 평가에서는 국가·사회적 요구와 개인적 요구에 비추어 바람직한 가
                                 치와 합리적 가치의 내면화 정도, 가치에 대한 분석 및 평가 능력, 공감 능력, 친사회
                                 적 행동 실천 능력 등을 평가하는 데 중점을 둔다.




            3   평가의             2015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에서 제시된 평가 내용을 종합적으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내용             (1)  사회 현상의 이해와 문제 해결에 필수적인 지리, 역사, 제 사회과학의 기본 개념 및

                                 원리, 일반화에 대한 습득 정도를 평가한다.

                              (2)  지리적 현상, 역사적 사건, 현대 사회의 현상과 특성에 대한 통합적, 종합적 이해 정
                                 도와 사회 현상을 탐구하는 데 필요한 각종 정보와 자료를 획득, 조직, 활용하는 능력

                                 을 평가한다.


           88   총론
   85   86   87   88   89   90   91   92   93   94   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