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95 - ele_society_5-2_tutor
P. 95

③ 선다형: 다수의 답지에서 옳은 것이나 옳지 않은 것을 선택하게 하는 평가 방식이다.




                                        다음 <보기>에서 대통령에 대한 옳은 설명을 모두 고른 것은 무엇인가요?
                                          <보기>
                                          ㉠ 5년마다 국민이 직접 뽑는다.          ㉡ 국무총리를 임명할 수 있다.

                                          ㉢ 정부를 이끄는 최고 책임자이다. ㉣ 국회를 대상으로 국정 감사를 실시한다.

                                          ① ㉠, ㉡              ② ㉡, ㉢               ③ ㉢, ㉣
                                          ④ ㉠, ㉡, ㉢           ⑤ ㉡, ㉢, ㉣



                                   출제 의도
                                        정부 조직의 최고 책임자인 대통령의 책무와 특징을 알고 있는지 평가한다.



                                     서답형

                                     서답형 평가에는 간단한 용어로 답하는 단답형, 문장의 일부를 비워 놓고 적절한 용어
                                    를 써넣는 완성형, 두 개 이상의 단어 혹은 문장 형태로 답을 서술하는 서술형이 있다. 서
                                    답형은 선택형 평가에서 측정하기 어려운 일반화에 대한 이해 정도나 고차 사고력을 평가

                                    하기 위해 주로 사용된다.
                                    ①  단답형: 간단한 단어, 어구, 숫자 등 제한된 형태로 답하게 하는 평가 방식이다.





                                        1592년 조선에 ‘명으로 가는 길을 빌려 달라.’라는 구실을 내세우며 일본군이 쳐들어온
                                        사건을 무엇이라고 하는지 쓰세요.                                   (           )


                                   출제 의도
                                        ‘임진왜란’이라는 역사적 용어를 정확히 알고 있는지 평가한다.



                                    ②  완성형: 문항에서 제시한 진술문이나 도표 중 일부를 빈칸으로 두고 그곳에 알맞은 단
                                      어, 어구, 숫자 등을 써넣게 하는 평가 방식이다. 빈칸을 여러 개 둘 수도 있는데, 이
                                      경우에는 각각의 빈칸을 채점 단위로 하여 점수를 배정하고 부분 점수를 주어야 한다.




                                        다음 ㉠, ㉡에 들어갈 알맞은 말을 쓰세요.


                                            1945년 12월 미국과 영국, 소련의 대표들은 ( ㉠                ) 을/를 열어, 한반
                                          도에 민주적인 임시 정부를 수립하고, 최대 5년 동안 ( ㉡                   ) 을/를 실시
                                          하는 것으로 결정하였다.



                                                                                                           93
                                                                                             4. 사회과의 평가 방법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