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80 - ele_society_5-2_tutor
P. 80

단계         주요 내용                  교수·학습 활동                    유의점
                                                         T    찾아본 법률 사례를 발표해 봅시다.
                                                                                             학생들이 다양
                                                         S    학생들에게 건강한 급식을 주기 위한 「학교 급
                                                                                             한 법률 사례를
                                                           식법」이 있습니다.
                                                                                             찾아보도록 하
                                                         S    아이들이 행복하고 안전하게 자랄 수 있도록
                               3. 사례 및                                                       면서 이러한 법
                                          개념의 속성 분류        보장하는 「아동 복지법」이 있습니다.
                                 속성 검토                                                       률들의 공통점
                                                         T    친구 간에 약속 시간을 지키는 것도 중요한데,
                                                                                             과 차이점을 분
                                                           이것도 법의 하나라고 볼 수 있을까요?
                                                                                             류하여 생각해
                                                         S    필요한 일이기는 하지만 지키지 않는다고 제
                                                                                             보도록 한다.
                                                           재를 받는 것은 아니라서 법이 아닙니다.
                                                         T    법과 비슷한 것에는 무엇이 있을까요?
                                          관련 개념 검토
                                                         S    도덕이 있습니다. 지켜야 하기 때문입니다.
                                                                                             비슷한 개념 찾
                                                         T    법과 도덕의 같은 점과 다른 점은 무엇일까
                                                                                             기에 어려움을
                               4. 개념 분석                    요?                                느끼면 교사가
                                          개념 간 위계 구조  S    법과 도덕 모두 사회 질서 유지에 필요합니다.
                                                                                             도움말을 제시
                                          파악             S    법은 반드시 지켜야 하고 지키지 않으면 제재       한다.
                                                           가 따르지만 도덕은 강제로 지키도록 할 수 있
                                                           는 것이 아닙니다.

                                                        •  법 위반 사례 제시하기
                                                          -  「도로 교통법」 위반 사례를 검토한다.
                                                         T    「도로 교통법」을 위반하여 신호등을 안 지키는
                                                           사람들이 많아지면 어떻게 될지 말해 봅시다.          법의 속성과 생
                                                         S   도로에서 많은 사고가 날 것입니다.             활의 관련성을
                                          개념과 관련된 문                                          생각해 보면서
                               5. 적용 및    제 검토           S   길을 걸을 때마다 위험을 느낄 것입니다.
                                 정리                      T    우리 사회의 사람들이 「도로 교통법」을 잘 지      법의 역할과 필
                                                           켜야 하는 까닭이 무엇일까요?                  요성을 생각해
                                                         S   모두의 안전을 위한 법이기 때문입니다.           볼 수 있도록

                                                         S    모두를 위한 법이므로 내가 이 법을 잘 지킬       한다.
                                                           때 나의 안전도 보장받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평가            •  법에 관해 배운 내용 정리하기






                               논쟁 문제 학습
                                논쟁 문제 학습은 사회적으로 찬성과 반대의 의견이 나누어져 있고, 여러 개의 대안 중

                              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해야 하는 논쟁적인 공공 문제(controversial public issues)에서 어느
                              하나의 입장을 합리적으로 선택하고, 그러한 선택을 옹호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는 교수
                              방법의 하나(차경수, 1996: 144)이다. 올리버(Oliver)와 세이버(Shaver)에 의해 제안된 것
                              으로, 올리버–세이버 모형, 하버드 모형, 법리 모형 등으로 불리기도 한다. 조이스·웨일

                              (Joyce & Weil, 2003) 등이 법리적 접근법에 적합한 모형을 제시하였기 때문에 여기서는
                              이들이 제시한 모형의 과정을 나타내기로 한다.


           78   총론
   75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