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69 - ele_society_6-1_tutor
P. 169

1
                   2.  1번의 문제를 어떻게 해결하면 좋을지 생각해 보자.                정리
                   예시 답안
                                                                     학습 내용 정리하기                                    단원
                   • 충분한 대화와 토론을 통해 다 같이 참여할 수 있는
                                                                  •  민주적 의사 결정 원리의 의미와 필요성에 대해 정리해 봅
                    봉사 활동 방법을 정합니다.
                                                                    시다.
                   해설  다수의 의견이 항상 옳은 것은 아니므로 소수의                  • 다수결의 원칙을 따를 때 주의할 점을 정리해 봅시다.
                   의견을 존중해야 하며, 다수결의 원칙을 따르기 전에
                                                                     확인해요
                   충분한 대화와 토론의 과정을 거쳐야 한다. 다수결의
                                                                  • 이번 시간에 배운 내용을 정리해 봅시다.
                   원칙은 대화와 토론, 양보와 타협으로 합의에 이를 수
                   없을 때 마지막 수단으로 사용해야 한다.
                                                                    •  민주적 의사 결정의 원리에는 대화와 토론, 양보와
                                                                      타협, ( 다수결의 원칙 ) 등이 있다.
                     수업 제안  구체적으로 소수의 의견을 어떻게 존중할 수 있는
                   지를 알아보기 위해 사례들을 더 살펴볼 수 있다. 수업 참고 자                 다수결의 원칙이란 다수의 의견이 소수의 의견보다
                   료에 제시된 운전 중 휴대 전화 사용에 대한 「도로 교통법」 사례,              ( 합리적 )(이)라고 가정하고 다수의 의견을 채택하
                   「저작권법」 사례 등이 있다.                                   는 의사 결정 방법이다.
                                                지도서 부록 328쪽
                   이런 활동을 할 수 있어요
                                                                     차시 예고하기
                    다수결 원칙의 좋은 점과 주의할 점 알기
                                                                  •  다음 시간에는 민주적 생활 태도와 민주적 의사 결정 원리
                   –  민주적 의사 결정 원리인 다수결의 원칙을 따르는
                                                                    를 생각하며 이를 생활 속에서 실천해 보겠습니다.
                     네 가지 사례를 살펴본다.
                   –  다수결 원칙의 의미를 정리해 보고, 다수결의 원칙
                     을 따르면 좋은 점과 다수결 원칙을 적용할 때 주의
                                                                    판서하기
                     해야 할 점 등을 친구들과 토의해 본다.
                                                                    2. 다수결의 원칙
                     지도상의 유의점  우리 생활에서 다수결의 원칙이 광범위하게                   의미: 다수의 의견이 소수의 의견보다 합리적이라
                   활용되고 있지만, 모든 사람을 만족시키는 최고의 의사 결정 수                  고 가정하고 다수의 의견을 채택하는 의사 결정
                   단은 아니므로 다수결의 원칙을 활용할 때 소수의 의견도 반드
                                                                       방법
                   시 존중해야 함을 강조한다.
                                                                        필요성: 대화와 토론, 양보와 타협으로 문제가 잘
                 ➍  아 ! 그렇구나 _ 다수의 의견이 항상 옳을까?                         해결되지 않을 때 다수결의 원칙을 따르면 쉽고 빠

                 •  ‘소크라테스의 죽음’에 관한 이야기를 읽고 ‘다수의 의견이                   르게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음.
                   항상 옳을까?’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그 까닭과 함께 이야
                                                                    3. 다수결의 원칙을 따르는 사례
                   기해 봅시다.
                                                                        일상생활에서의 의사 결정
                  –  많은 사람이 찬성한 의견이라면 소수의 사람이 주장                        학급 회의에서 안건을 결정할 때

                    하는 의견보다는 더 타당하고 옳을 가능성이 크다고                         학급 임원 선거나 전교 임원 선거에서 대표를 선출
                    생각합니다.                                             할 때
                  –  다수의 의견이 항상 옳은 것은 아니라고 생각합니                         대통령 선거 등
                    다. 더 많은 사람이 찬성했다는 이유로 다른 사람의                    4. 다수결의 원칙을 따를 때 주의할 점
                    인권을 부당하게 침해하는 경우도 있기 때문입니다.                         다수의 의견이 항상 옳은 것은 아니므로 소수의 의
                 •  다수결의 원칙을 따를 때 소수의 의견을 존중해야 하는 까                    견을 존중해야 함.
                   닭은 무엇인가요?                                            다수결의 원칙으로 결정하기 전에 충분한 대화와
                  –  다수의 생각이 항상 옳다고 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토론의 과정이 있어야 함.
                                                                        대화와 토론, 양보와 타협으로 합의에 이를 수 없
                  – 소수의 생각이 옳을 때가 있기 때문입니다.
                                                                       을 때 마지막 수단으로 사용해야 함.
                  –  소수가 피해를 볼 수 있기 때문입니다.


                                                                                            우리나라의 정치 발전  167
   164   165   166   167   168   169   170   171   172   173   1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