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85 - ele_society_6-1_tutor
P. 285
수업 참고 자료
17 18 차시 래하는 것으로서, 무역의 어원은 교환(매매)을 의미한
~
다. 한자어를 보면, ‘貿’ 자는 ‘무역할 무’, ‘易’ 자는 ‘바꿀 2
자동차를 만드는 나라에서 다른 나라의 자동차를 수입하
역’이다. 무역을 뜻하는 영어의 trade도 track(지나간 자 단원
는 까닭
국, 항로)과 tread(걷다, 밟다)를 합한 것으로, 어떤 길이
도로 위를 다양한 기업이 만든 자동차들이 달리고 있 나 항로를 따라가면서 물건을 교환하는 행위를 말한다.
다. 우리나라에서 만든 차는 물론이고 다른 나라에서 수 무역은 교환에서 비롯되었으며, 그 기원은 원시 공동 사
입한 외국 자동차도 쉽게 볼 수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만 회로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들 수 있는 자동차를 왜 수입하는 것일까? 원시 사회에서는 서로 필요한 물건을 물물 교환하는 단
우리 주변에 있는 물건을 예로 들어 설명해 보자. 작 순한 형태였으며, 이후 사회가 발달하면서 시장이 발생
은 인형 뒤쪽에 붙은 상표를 한번 살펴보자. 많은 인형 하고 상호 간의 거래가 현재와 같은 형태로 발전하였다.
에 ‘MADE IN CHINA’라고 쓰여 있을 것이다. 중국에 물물 교환의 형태가 발전을 거듭하면서 교환의 매개 수
서 만든 인형을 우리나라가 수입하였다는 뜻이다. 인구 단이 필요하게 되자 화폐가 생성되었는데, 화폐는 교환
가 많은 중국은 일할 사람이 많아서 인건비가 우리나라 을 더욱 촉진하였다. 교환이 이루어지면 교환이 없을 때
보다 낮은 편이다. 그래서 사람이 일일이 손으로 작업해 보다 더 큰 효용을 얻을 수 있다. 이 때문에 국내 시장과
야 하는 인형이나 가발, 옷 등을 다른 나라보다 훨씬 싼 상업이 형성되고 확대되어 국가 간의 교환이 이루어지게
가격에 만들 수 있다. 우리나라에서 인형 하나를 만들려 된다.
면 500원이 필요한데, 중국에서는 300원이면 만들 수 - 산업통상자원부, 『알아 두면 쓸모 있는 무역 잡(Job) 이야기』,
있다고 가정해 보자. 우리나라에서는 인형 10개를 만들 2020, 6~7쪽 -
려면 5,000원이 필요하지만, 중국에서는 3,000원이면
가능하다. 인형을 파는 사람은 우리나라에서 만든 비싼 한국무역협회 누리집
인형보다 중국에서 만든 싼 인형을 수입해서 팔면 더 많 한국무역협회의 무역 통계 누리집에서 무역에 관한 다
은 이득을 남길 수 있을 것이다. 그래서 우리나라에서 만 양한 통계, 수출입 사례 등을 제공하고 있다. 우리나라
들 수 있는 물건이라도 더 낮은 가격과 좋은 조건의 물 무역에 관한 조사 학습에 활용할 수 있다.
건을 수입해 오는 것이다.
그렇다면 외국 자동차는 우리나라 자동차보다 비싼
것들이 많은데 왜 수입할까? 수출이나 수입을 할 때는
여러 가지 조건을 따져 보고 물건을 선택하게 된다. 가격
도 중요하지만, 기술력이나 브랜드 가치 등도 중요한 조
건이 될 수 있다. 사람들은 물건을 살 때 가격뿐만 아니
라 상표, 디자인 등의 다양한 기준을 고려하기 때문이다.
- 서지원, 『어린이를 위한 무역의 모든 것』, 풀과바람, 2020,
16~18쪽 -
▲ 한국무역협회 무역 통계 누리집
- 한국무역협회 무역 통계(stat.kita.net) -
무역의 의미
무역이란 나라와 나라 사이에 서로 필요한 물건을 사 온라인 무역 지도 만들기
고팔거나 교환하는 것을 말한다. 무역은 국내 거래와 달 온라인에서 협업 서비스를 활용하여 세계 지도 문서를
리 경제 체계, 화폐 제도, 관세 제도 등이 다른 외국과 거 만든 후, 학생들이 우리나라와 무역을 하는 국가들을 각
우리나라의 경제 발전 2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