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327 - ele_math_5-2_tutor
P. 327

6                             평균과 가능성

























                                                                            빅 데이터 시대를 살아감에 있어 자료를 처리하고 해석하는
                                                                           능력과 불확실한 미래를 예측하고 이에 대응하는 능력은 필수
                                                                           적이다. 이 단원은 자료와 가능성 영역에 해당하는 단원으로
                                                                           평균과 가능성이라는 주제를 다룬다.
                                                                            평균은 초등학교에서 다루는 유일한 대푯값으로, 수집된
                                                                           자룟값을 고르게 하여 나타낸 것이다. 따라서 이 단원에서는
                                                                           자료가 주어질 때 대푯값의 필요성을 인식하게 하고 대푯값
                                                                           으로 평균을 사용하는 것의 합리성과 유용성을 느끼도록 지도
                                                                           해야 하며, 수집된 자룟값을 고르게 한다는 평균의 개념적
                                                                           이해를 유도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 초등학교에서 지도하는 가능성은 수학적 확률의 정의
                                                                           이전의 것으로 가능성의 상황을 직관적으로 경험하며 비형식적
                                                                           접근을 통해 가능성을 판단 및 비교, 표현하는 것 등을 내용
                                                                           으로 한다. 이때 비형식적 접근이라는 것은 예를 들자면 다음과
                                                                           같은 의미를 갖는다. 주머니 속에 파란색 구슬 4개와 노란색
                                                                           구슬 2개가 들어 있다면 파란색 구슬이 노란색 구슬보다 더
                                                                           많기 때문에 주머니에서 구슬 한 개를 꺼낼 때 꺼낸 구슬이
                                                                           파란색일 것 같다고 가능성을 판단하는 것이다. 이는 구슬
                                                                           6개가 들어 있는 주머니에서 구슬을 한 개 꺼내는 모든 경우
                                                                           의 수가 6이고 꺼낸 구슬이 파란색인 경우의 수가 4이므로
                                                                           꺼낸 구슬이 파란색일 확률은 4/61=2/32와 같다는 이론적

                                                                           접근과는 차이점이 있다는 것을 염두에 두고 이 단원을 지도
                                                                           해야 한다.
















            20개정_초등_지도서[526](325~370)_수정본-6교.indd   325                                                             2022. 5. 2.   오후 1:35
   322   323   324   325   326   327   328   329   330   331   3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