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69 - ele_math_6-1_tutor
P. 269
통계 활동을 하면서 목적에 적합한 그래프를 선택하는 역량은 교육과정 성취기준에 제시되어
있는 중요한 역량이다. 목적에 맞게 그래프를 선택하는 기준은 자료의 특성, 자료 정리의 목적 5
등이 있다. 예를 들어 자료가 이산량인지 연속량인지를 고려해야 하며, 수량을 비교할 것인지,
경향이나 변화를 파악할 것인지 또는 전체에 대한 비율을 파악할 것인지 등 자료 정리의 목적을
생각하여 그래프를 선택해야 한다.
3. 다른 교과와 연계하여 그래프 지도하기
수학과 교육과정에서 다루는 통계 그래프에는 표, 막대그래프, 꺾은선그래프, 원그래프,
띠그래프가 있다. 일상에서 사용되는 그림그래프는 정보를 다양하게 시각화하여 표현하는 인포
그래픽(in fograp hic) 형태가 주를 이룬다. 특히, 수학 외의 교과에서는 교과 특성에 맞는 다양
한 그림그래프를 사용하는데, 대표적으로는 사회 교과에서 사용되는 주제도가 있다. 주제도는
그 유형에 따라 같은 수치의 지점을 선으로 연결하여 표현하는 등치선도, 일정 단위의 점으로
표현되는 점지도, 크기나 비율을 원, 막대, 입체도형 등을 이용한 도형 표현도, 통계 자료를
여러 단계로 구분하여 서로 다른 색이나 기호로 표현하는 단계 구분도 등이 있다. 등치선도는
등고선, 등온선 등으로 교과서상에 나타나며, 점지도는 인구의 분포를 나타내는 산점도로 표현
된다.
다른 교과 수업에서 다루어지는 통계 그래프는 그 목적에 따라 시각적인 효과를 극대화하기
도 하고 자료 집합 사이의 비교가 가능하도록 복합적으로 제시되기도 하며 교과의 특성과 주
제에 맞게 특화된 형태로 사용되기도 한다. 과거에는 이러한 통계 그래프가 수학 교과서에서
다루는 것과 별개인 것처럼 다루어져 왔으나, 2015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은 ‘실생활 중심의
통계 내용 재구성’을 목표로 하여 교수·학습 방법 및 유의 사항으로 “그래프를 지도할 때 신문,
인터넷 등에 있는 표나 그래프를 소재로 활용할 수 있게 한다.”라고 명시하고 있다. 즉 다른
교과에서 등장하는 다양한 통계 그래프에 대한 분석과 해석이 가능하도록 수학 수업에서 통계
그래프의 지도가 이루어져야 한다(이형근 외, 2019).
이런 측면에서 이 교과서에 소재로 다룬 ‘공공 어린이 도서관 수’, ‘권역별 인구수’, ‘재외 동포
수와 한글 학교 수’, ‘사물 악기’, ‘피자 토핑’, ‘연료별 자동차 등록 대수’, ‘봉사 활동을 하는
청소년’ 등은 그래프 학습에 있어서 다른 교과와 적극적으로 연계할 수 있는 소재를 사용했다.
이 밖에도 다른 교과 교과서에 나타난 다양한 그래프를 알아보는 활동을 해도 효과적일 것이다.
또한 실제로 부족한 자료를 국가통계포털 누리집을 이용하여 직접 찾아보게 하는 등 실질적
인 학습이 될 수 있도록 구성하였으므로 정보 처리 능력을 함양할 수 있는 적절한 지도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자료 출처
• 교육부, 『수학 6-1 교사용 지도서』, 2020.
• 이형근, 김동원, 탁병주, 「타 교과 통계 그래프 분석을 통한 초등학교 수학 수업에서의 그래프 지도 개선
방안 탐색」, 2019.
5. 여러 가지 그래프 267
20개정_초등_지도서[615](257~302)_수정본OK.indd 267 2022. 4. 28. 오후 12: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