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49 - ele_math_6-2_tutor
P. 49

(2) 간결성

                                         간결성은 수학에서 사용되는 수학의 개념, 원리, 명제 등은 모두가 최소한의 언어로 최대한의
                                       의미를 표현하려는 수단이라는 측면이다. 예를 들어 ‘마주 보는 두 쌍의 변이 평행한 사각형’이라
                                       고 하는 것보다는 ‘평행사변형’이라고 부르는 것이 의사소통에서 더욱 간결할 수 있다. 나아가 직
                                       사각형에서 직각인 각을 언급할 때 꼭짓점의 기호가 정해져 있지 않으면 직각을 그림에 표시할 수
                                       는 있지만 의사소통하기는 힘들다. 다만 이렇듯 수학적 용어나 기호를 도입하는 것이 학생의 수준

                                       에 비추어 반드시 쉬운 것은 아닐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 최근의 초등학교 『수학』 교
                                       과서에서는 이런 점을 고려하여 용어나 기호를 점진적으로 도입해 온 경향이 있으며, 한편으로 이
                                       러한 용어나 기호를 도입할 때는 학생들이 그 필요성을 충분히 인식할 수 있도록 지도하는 것이
                                       필요하다.

                                       (3) 일반성

                                         일반성은 수학에서 학습하는 개념이나 원리, 명제 등은 일반적이라는 것으로, 학습한 결과를 추
                                       상화하여 유사한 다른 상황에 적용시키는 것을 말한다.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의 한 가지 특징은
                                       주로 일반적인 것보다는 구체적인 것을 다룬다는 점이다. 예를 들어 직사각형의 넓이를 지도한다
                                       면 ‘가로가 4 cm, 세로가 3 cm인 직사각형’과 같이 구체적인 직사각형이 주어진다. 여기서 유의
                                       할 점은 이러한 구체적인 예로부터 다른 상황에 적용시키는 과정을 어떻게 지도할 것인가 하는 점
                                       이다. 초등학생이라는 특성을 고려한다면 이 과정에서 많은 익히기 문제를 해결해 보는 경험이 도

                                       움이 될 수도 있고, 구체물을 이용하여 원리를 탐구하는 조작 활동에 집중하여 생각해 보도록 하
                                       는 경험이 도움이 될 수도 있다. 다만 직사각형은 무한히 많다거나 모든 직사각형의 넓이는 가로
                                       와 세로의 곱으로 구할 수 있다는 언급은 학생의 수준을 판단하여 조심스럽게 다룰 필요가 있다.


                                         초등학생들에게 수학의 도야적 목적을 곧바로 길러 주는 것은 쉽지 않은 일일 수 있기 때문에

                                       엄밀성, 간결성, 논리성, 일반성 등에 점진적으로 접근하게 하는 것을 늘 염두에 두어야 할 것이다.
                                       만약 초등학생이 교사에게 수학을 왜 배우는지를 질문할 때 도야적 목적의 관점에서 답을 한다면,
                                       ‘수학을 계속 공부하다 보면 똑똑한 사람이 될 수 있어!’ 정도로 답해 주는 것이 적절할 수 있다.



                                       나. 실용성

                                         실용적 목적은 주로 수학을 공부해서 어디에 활용할 수 있는지와 관련된다. 앞에서 살펴본
                                       2015 개정 수학 교육과정의 초등학교 목표에서 ‘생활 주변 현상’으로 시작한 반면, 중학교 목표는
                                       ‘사회 및 자연 현상’으로 시작한다. 이 문구가 일차적으로 수학의 실용적 목적의 큰 범주를 대략적
                                       으로 제시하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즉 초등학교에서 학습하는 수학은 실생활에서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는 것들이 있으며, 중학교에서 학습하는 수학은 실생활보다는 사회 및 자연 현상을
                                       분석하는 데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음을 가정하고 있는 듯 하다. 또한 초등학교의 수학은 중학교

                                       의 수학을 위한 기초가 되고, 나아가 고등학교의 수학, 직업이나 학문을 위한 대학의 학습에 기초
                                       가 된다고 보다면 이 역시 실용적 목적으로 볼 수 있을 것이다.
                                         황혜정 외(2019)는 “수학이 다른 과학의 기초가 되고 문명이 발달하는 초석이 되기 때문에 공부
                                       해야 한다.”와 같은 관점은 보편적인 설득력이 약해 보일 수 있음을 지적하고 있는데, 그 이유는



                                                                            3. 2015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의 교수 · 학습 및 평가의 방향  47







            20개정_초등_지도서[620](008~072)-총론앞_수정본OK.indd   47                                                          2022. 4. 28.   오후 12:24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