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70 - ele_science_5-2_tutor
P. 70

단원의 배경지식                                      ⑵ 만들기 중심 탐구

           자유 탐구란                                            ①  인공적으로 만든 물체를 대상으로 하며, 탐구 주제
             자유 탐구란 학생 스스로 자연 현상 및 일상생활의                       와 관련된 장치를 직접 만들어 보면서 장치의 작
           문제를 과학적으로 탐구해 가는 과정으로, 탐구 문제                        동 원리를 탐구하거나 장치의 기능을 개선하는 방
           선정, 탐구 계획, 탐구 실행, 결론 도출 및 탐구 보고서                    법을 찾는 탐구 유형이다. 과학 이론이 일상생활에
           작성, 발표에 이르는 탐구의 모든 과정을 스스로 해결                       적용되는 예를 확인하고, 과학 기술에 대한 흥미를
           하는 자기 주도적 탐구를 말한다. 이는 과학자들의 실제                      유발하여 발전하는 미래 사회에 대한 적응 능력을
           탐구와 유사하며 일련의 과정을 통해 학생들은 탐구 능                       기를 수 있다.

           력을 기르고 과학에 대한 흥미를 높일 수 있다.                        ②  지도상 유의점
                                                             • 과학 원리가 적용되는 독창적인 장치를 만들게 하고
           자유 탐구 유형                                           안전에 유의하며 탐구하게 한다.
             자유 탐구의 유형에는 실험 중심 탐구, 만들기 중심                    • 탐구 수행 시 ‘기본 설계 → 만들기 → 테스트 →
           탐구, 기르기 중심 탐구, 탐사·탐방 중심 탐구 등이                      재설계 → 원리 탐구’의 과정을 거친다.
           있다. 이와 같은 탐구의 유형을 구별할 때 ‘ ̄중심 탐구’                  ③  주제 예시

           라는 용어를 사용하는 까닭은 이들 유형이 각각 독립적                     • 촛농이 떨어지지 않는 초를 어떻게 만들까?
           이거나 상호 배타적인 것이 아니라 실제 탐구 상황에서                     • 멀리 날아가는 회전 고리 비행기를 어떻게 만들까?
           혼재되어 있기 때문이다.                                     • 고무줄의 힘으로 움직이는 장난감을 어떻게 만들까?

           ⑴ 실험 중심 탐구                                        • 내용물을 오랫동안 따뜻하게 보관하려면 보온병을
                                                              어떻게 만들까?
           ①   탐구할 문제에 따른 변인들 사이의 인과 관계를 밝히기
              위한 목적으로 문제 인식, 가설 설정, 변인 통제, 자료                • 공중 부양 자석 팽이를 오랫동안 돌게 하려면 어떻게
                                                              만들까?
              수집, 자료 변환 및 자료 해석, 결론 도출의 과정을
              따라 실험을 하고 문제를 해결하는 탐구 유형이다.                    ⑶ 기르기 중심 탐구

           ②   지도상 유의점                                       ①  동식물을 직접 기르면서 동식물의 한살이, 동식물의
           • 실험 시 변인 통제에 유의하고 반복 실험으로 평균값을                     생장에 적합한 환경 등을 연구하는 탐구 유형이다.
             구하여 정확한 결과를 도출할 수 있게 한다.                          생물을 기르는 경험을 하며 생명 존중의 태도를 기
           • 실험 안전 지도에 유의하여 사고가 나지 않게 한다.                      를 수 있다.

           ③   주제 예시                                         ②  지도상 유의점
           • 어떤 모양의 얼음이 빨리 녹을까?                              • 재배·사육 기간, 학생들이 기를 수 있는 것, 날씨와

           • 알약은 어느 용액에서 가장 잘 녹을까?                            계절을 고려하여 대상 생물을 선정한다.
           • 자석에 붙어 있던 클립의 자기화를 제거하는 가장                      • 기르거나 재배하는 생물에 대해 사전 지식을 가지고
             좋은 방법은 무엇일까?                                     탐구하며 생명 존중의 태도를 지니게 한다.
           • 어떤 과일주스에 바이타민 C가 가장 많이 들어 있                     • 탐구 수행 전 필요한 탐구 기능을 익히게 하며 탐구를
             을까?                                              실행할 때는 관찰 일지를 작성하게 한다.
           • 봉숭아 외의 다른 꽃잎으로 손톱을 물들일 수 있                      ③  주제 예시

             을까?                                             • 사슴벌레는 고체와 액체로 된 먹이 중 어느 것을 더
           • 물과 물파스 중에서 빨리 증발되는 것은 무엇일까?                      잘 먹을까?
           • 유리와 한지 중에서 어떤 재료가 열이 빠져나가는                      • 양파는 물과 흙 중 어디에서 더 빨리 자랄까?
             것을 잘 막아 줄까?                                     • 우리 학교에서 버섯이 가장 잘 자랄 수 있는 장소는
           • 두루마리 휴지, 한지, 도화지 중에서 어떤 재료가 물을                   어느 곳일까?
             가장 빨리 흡수할까?                                     • 빵의 종류에 따라 자라는 곰팡이의 종류가 다를까?


           68     제 2 부 지도의 실제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