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73 - ele_science_5-2_tutor
P. 73

탐구의 기록 및 자료 수집                                   탐구 보고서와 발표 자료 비교하기
                 ①   중요성: 학생들이 스스로 탐구한 결과를 확인하며                   ① 탐구 보고서
                   자신이 알고 있는 것, 탐구를 통해 알게 된 것, 더
                                                                            탐구 활동의 최종 결과물로 탐구의 전체 과정
                   알고 싶은 것 등을 되돌아보는 반성적 사고를 할 수                                                                    1
                                                                     형식     을 구체적으로 나타내 탐구의 내용과 결과를
                                                                                                                   단원
                   있다.                                                      자세히 확인할 수 있게 구성한다.
                 ②  역할: 탐구 과정과 탐구 결과를 정리하고 발표 자료                            탐구의 모든 단계를 순서대로 짜임새 있게 구

                                                                    차례 구성
                   만들기를 위한 중요 자료가 된다. 자유 탐구 활동의                             성한다.
                   전체 과정을 확인하는 증거가 되기 때문에 평가 자
                                                                     자료의    탐구의 각 단계에서 얻은 구체적인 내용을 완
                   료로 활용할 수도 있다.                                     서술     결된 문구로 제시한다.
                 ③ 기록 방법
                                                                    자료 제시   설명 중심의 문장으로 서술하며 관련된 사진,
                                                                     방법     표, 그래프를 추가하여 나타낸다.
                            관찰 능력이 향상될 수 있지만, 일정 수준의 그
                    그림
                            리기 능력과 시간이 오래 걸리는 단점이 있다.                       탐구의 전체 과정을 구체적으로 제시했는지, 결
                                                                    평가 관점   과를 뒷받침하는 다양한 자료와 탐구자의 해석
                            대상을 있는 그대로 쉽고 빠르게 기록하고 보
                                                                            이 옳은지 평가한다.
                    사진      관할 수 있지만, 사진 자료에만 의존하여 체계
                            없이 탐구 기록을 남기는 문제가 생길 수 있다.
                                                                  ② 발표 자료
                            장면과 음성을 한 번에 기록하고 변화하는 모
                            습을 관찰하여 기록하는 데 유용하지만, 편집                        짧은 시간에 청중에게 전달하기 위한 목적으로
                    동영상
                            하기가 어렵고 필요한 기기가 비싸다는 단점                  형식     만든 자료이므로 탐구의 주요 과정 및 결과를
                            이 있다.                                           한눈에 볼 수 있도록 간략하게 구성한다.
                            형식에 치우친 기록보다는 탐구를 수행하는                          탐구의 주요 단계 위주로 나타내며 순서는 발
                                                                    차례 구성
                   탐구 일지    동안 관찰하고 측정한 내용을 있는 그대로 기                        표자의 의도에 따라 보고서와 다를 수 있다.
                            록해야 한다.                                  분량     발표 시간을 생각하여 자료의 분량을 결정한다.


                 ④  자료 수집 방법: 탐구의 목적이나 탐구 문제를 해결                            탐구 보고서 내용을 요약하여 핵심 문구 중심
                                                                     자료의
                   하는 데 가장 적절한 방법을 선택해 자료를 수집한다.                     서술     으로 제시하고, 실험 과정은 주요 장면만 보여
                                                                            주고 설명으로 보충하기도 한다.
                   자료 수집 방법에는 관찰, 측정, 면담, 문헌 조사
                   등이 있다.                                           자료 제시   시각적인 내용을 중심으로 제시하고 이에 대한
                                                                     방법     해석이나 설명을 간단하게 한다.
                           •관찰 대상 정하기
                                                                            정해진 시간 안에 탐구 내용을 이해하기 쉽게
                           •다양한 감각 기관 활용하기
                                                                    평가 관점   핵심적인 내용 중심으로 다루었는지와 발표 태
                    관찰     •관찰 대상 조작 및 현상 관찰
                                                                            도를 평가한다.
                           •측정 도구를 사용한 정량적 관찰
                                                                                                 (출처: 양일호, 2011)
                           •현미경 등을 사용한 정교한 관찰
                           •측정 대상, 측정 도구, 측정 단위 정하기
                           • 측정 도구가 없을 때 척도표 만들어 간접 측정
                    측정
                             하기
                                                                  탐구 결과 발표 후 질의응답 시 교사의 발문 예시
                           •반복 측정 뒤 평균 구하기
                                                                  • 자료를 수집할 때 어려움이 있었는가?
                           •면담 내용, 면담 대상 정하기
                                                                  • 탐구 과정 중 계획을 변경해야 하는 경우가 있었는가?
                    면담     •질문지 작성 및 면담 실시
                                                                  • 탐구 과정 중 새로운 경험을 했는가?
                           •감사 인사 전하기
                           •인터넷, 관련 도서, 도감, 사전, 신문, 잡지 등          • 탐구 과정 중 새롭게 알게 된 점은 무엇인가?
                  문헌 조사
                           •출처를 구체적으로 밝히고 저작권 준수                  • 탐구 과정 중 흥미로운 점과 어려운 점은 무엇인가?
                                          (출처: 양일호 외 6`명, 2010)   • 탐구를 통해 더 알고 싶은 점이 있는가?


                                                                                        1. 재미있는 나의 탐구    71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