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77 - ele_science_5-2_tutor
P. 77

4   3에서 궁금한 것 중에서 탐구를 하여 알아보고 싶은                  정리
                   것을 친구들과 이야기해 탐구 문제로 정해 봅시다.
                                                                  탐구 문제 점검하기
                                                        실험 관찰
                   -   “청진기의 진동판에 어떤 재료를 사용해야 소리가                 •  우리 모둠이 만든 탐구 문제를 점검해 봅시다.
                                                                                                                   1
                     더 크게 들릴까?”를 탐구 문제로 정했습니다.                      -   탐구할 내용이 잘 드러나 있으므로 적절한 탐구                  단원
                 5   4에서 정한 탐구 문제가 적절한지 확인해 봅시다.                      문제입니다.
                                                        실험 관찰
                                                                    -   우리 스스로 탐구해서 해결할 수 있는 탐구 문제
                     수업 도우미   탐구 문제를 정할 때 생각할 점 안내
                                                                      이므로 적절합니다.
                   • 학생들이 스스로 해결할 수 있는 탐구 문제인지 생각해 보게 한다.
                                                                    -   탐구 문제를 해결하는 데 필요한 준비물을 구하기
                   • 탐구하는 데 필요한 준비물은 주변에서 쉽게 구할 수 있어야 한다.
                   • 간단한 조사를 통해 해결할 수 있는 탐구 문제는 피해야 한다.               어려우므로 수정해야 합니다.
                   • 탐구 문제는 ‘왜 그럴까?’, ‘이것은 무엇일까?’, ‘ ̄하면 어떻게            수업 도우미   탐구 문제 점검하는 방법
                     될까?’와 같은 질문 형식으로 탐구 내용이 분명하게 드러나도록             교사는 참고 자료의 ‘적절한 탐구 문제를 정하기 위한 점검표’를
                     쓰게 지도한다.                                       학생들에게 제시하고, 모둠별로 정한 탐구 문제가 적절한지 확인
                                                                    하게 할 수 있다.
                      적절한 탐구 문제          적절하지 않은 탐구 문제
                 •  30`초를 측정하는 모래시계를  • 무중력 상태에서 모래시계는
                   어떻게 만들까?              작동할까?
                                                                   형성  평가
                   → 학생들이 스스로 탐구하        → 학생들이 스스로 탐구하
                   여 해결할 수 있다.           여 해결할 수 없다.              1  다음은 자유 탐구 문제 정하기에 대한 학생들의 대화
                 • 강낭콩이 자라는 데 온도가  • 강낭콩은 어디에서 잘 자                  입니다. 잘못 말한 학생은 누구인지 써 봅시다.
                   영향을 줄까?               랄까?
                   → 탐구할 내용이 분명하고        → 탐구할 내용이 구체적이               탐구 내용이          필요한           우리 스스로
                                                                    잘 드러나게 탐구      준비물은 구하기      탐구해서 해결할 수
                   구체적이다.                지 않다.
                                                                    문제를 정해야 해.     어려워도 괜찮아.        있어야 해.
                   과학과 핵심 역량 강화를 위한 지도 방안
                   •  과학적 사고력  ,  과학적 의사소통 능력  청진기의 원리를 알
                     고, 청진기로 소리를 들어 보면서 생긴 궁금한 것을
                     생각해 보고 이야기하게 한다.
                                                                              나라            민준           누리
                   •  과학적 탐구 능력   관찰, 조사 활동을 바탕으로 하여 스스로
                     탐구하여 해결할 수 있는 탐구 문제를 정하게 한다.                                                (    민준     )
                                                                     풀이  탐구 문제를 해결하는 데 필요한 준비물은 주변에서 쉽게
                   평가 기준 예시_관찰 평가(모둠 평가)
                                                                    구할 수 있어야 한다.
                  방법 요소             평가 기준            상 중 하
                           탐구 문제를 정하는 활동에 적극적
                      태도                                           참고  자료
                           으로 참여했는가?
                           청진기로 작은 소리를 들어 보고, 탐                   적절한 탐구 문제를 정하기 위한 점검표
                  관찰
                      탐구 구를 통해 스스로 해결할 수 있는 알
                  평가                                                           점검 항목                예   아니요
                           맞은 탐구 문제를 정했는가?
                                                                   탐구할 내용이 분명하게 드러나 있는가?
                           탐구 문제를 정하는 방법을 알고 있
                      지식                                           스스로 탐구하여 해결할 수 있는 문제인가?
                           는가?
                                                                   탐구 문제를 해결하는 데 필요한 준비물을
                 평가 피드백  청진기로 소리를 들어 보면서 궁금했던 것 중에서 탐구             주변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가?
                 문제를 정하게 하고, 학생들이 스스로 해결할 수 있는 탐구 문제인지             탐구 문제의 범위가 좁고 구체적인가?
                 점검하게 안내한다.                                        간단한 조사로 쉽게 해결할 수 있는가?


                                                                                        1. 재미있는 나의 탐구    75
   72   73   74   75   76   77   78   79   80   81   8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