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71 - ele_science_5-2_tutor
P. 71
⑷ 탐사·탐방 중심 탐구 자유 탐구의 평가
① 과학 탐구 대상(갯벌, 지층이 발달한 지역 등)이나 자유 탐구 활동의 평가는 결과보다 과정에 중점을
과학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는 기관(과학관, 연구소 두어 실시하게 한다. 자유 탐구 활동은 단순한 지식 습
등)을 찾아가서 필요한 정보를 얻거나 체험하며 지 득이나 결과물만을 요구하는 것이 아니라 탐구 문제 설 1
단원
식을 구성해 나가는 탐구 유형이다. 단순한 견학이 정부터 탐구 결과 발표까지 일련의 과정을 거쳐 탐구해
나 체험이 아니라 학생들이 탐구의 목적을 가지고 가는 과정이 중요하다. 지필 평가를 지양하고 관찰, 면담,
탐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련의 과정이라는 점에 보고서, 포트폴리오 등 다양한 방법으로 학생들의 탐구
서 체험 학습과 차별된다. 과정을 평가할 수 있게 한다.
② 지도상 유의점
소리의 세기
• 탐사·탐방을 가기 전 목적지에 대한 사전 조사나 답
소리의 세기는 음파의 진폭과 관계있고, 이는 공기
사가 필요하며 역할 분담을 비롯하여 철저하게 계획
분자가 얼마나 크게 흔들렸는지를 나타낸다. 크게 진
을 세우고 활동한다.
동하는 물체는 주변의 공기를 크게 진동하기 때문에 진
• 알고 싶은 내용이 무엇인지 사전에 확인하고 필요한
폭이 큰 음파, 즉 큰 소리를 낸다. 소리의 세기를 나타
정보만 수집하도록 한다.
내는 단위는 dB(데시벨)이다. 이는 전화기를 발명한
③ 주제 예시
벨(Bell, A. G., 1847 ̄1922)의 이름을 따서 만든
• 우리 고장의 하천에서 볼 수 있는 생물에는 어떤 것이
있을까? B(벨)이라는 단위에 1/10을 나타내는 접두어 deci(데시)
• 우리 학교 나무의 잎맥 모양은 어떻게 다를까? 를 붙인 것이다.
• 한라산의 높이에 따른 나무의 분포는 어떻게 다를까?
I
• 채석강에서 볼 수 있는 해안 지형에는 어떤 것이 있 소리의 세기(dB)=10 logÑ Ò
I_0
을까? (소리의 세기: I, 소리의 기준 세기: I_0=10&^-12 W/m2 )
• 순천만에 서식하는 철새와 텃새에는 어떤 것이 있을까?
사람이 귀로 들을 수 있는 가장 작은 소리를
0`dB(10&^-12 W/m2 )로 하고, 소리의 세기가 10`배 커
자유 탐구의 탐구 단계
질 때마다 10`dB(10&^-11 W/m2 )씩 커진다. 20`dB은
⑴ 탐구 문제 정하기
사람이 귀로 들을 수 있는 가장 작은 소리보다 100`배
•주제 탐색하기
큰 소리이다.
•탐구 문제 만들기
⑵ 탐구 계획 세우기
단원의 참고 도서 및 참고 누리집
• 탐구 방법 선택하기(실험, 만들기, 기르기, 탐사·탐방 등)
• 송성수, 『발명과 혁신으로 읽는 하루 10 분 세계사』,
•구체적인 계획 세우기
생각의 힘, 2018.
⑶ 탐구 실행
• 양일호, 『한 권으로 끝내는 초등 과학 자유 탐구』, 아
•계획에 따라 실행하기
•탐구 내용 관찰하고 기록하기 울북, 2010.
⑷ 탐구 보고서 작성 • 이대형 『내가 정하고 탐구하고 발표하는 교과서 속
• 탐구 동기, 탐구 문제, 탐구 기간, 탐구 과정, 탐구 자유 탐구』, 한울림어린이, 2011.
결과 및 결론 등을 포함하기 • 잭 첼로너 외(이사빈, 이제학, 이민희 옮김), 『죽기
•체계적, 논리적으로 작성하기 전에 꼭 알아야 할 세상을 바꾼 발명품 1001』, 마로
⑸ 탐구 결과 발표 니에북스, 2010.
•다양한 방법으로 탐구 과정과 결과 발표하기 • 국립중앙과학관(https://www.science.go.kr)
•탐구 과정 및 결과에 대한 평가하기 • 사이언스올(https://www.scienceall.com)
1. 재미있는 나의 탐구 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