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48 - ele_science_6-2_tutor
P. 48

포함하도록 개발하였다. 특히 탐구 활동 중에서 일부는 놀이 과정을 포함하여 재미없거나
              지루하게 느끼는 학습 내용을 즐겁게 탐구할 수 있도록 하였다.


           ③  하나의 성취 기준이 창의·융합형 탐구일 때에는 상황을 제시하는 도입문과 함께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으로 구성하였다.

           ④  ‘스스로 확인해요’를 통해 학습을 마친 뒤 학생 스스로 핵심 개념에 대해 학습 정도를 평가
              하고 점검할 수 있도록 하였다.


                                                                                          차시별
                                                     연소가 일어나려면 탈 물질과 산소가 있어야 하고, 발화점 이상의
            차시 제목         4  불을 끄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온도가 되어야 합니다. 이 세 가지 조건 중에서 하나라도 없다면 연소가   개념 설명
                                           어떻게 된 거지?  일어나지 않습니다. 연소의 조건 중에서 한 가지 이상의 조건을 없애
                                                    불을 끄는 것을 소화라고 합니다.
                                           촛불이
                              나무나 숯에 불을 붙일 때와 다르게 촛불에   모두 꺼졌어.  소화 방법은 탈 물질에 따라 다릅니다. 나무나 옷에서 발생한 화재는
                                     1
                             부채질을 하면 촛불이 꺼집니다. 다양한 방법  교51-11-I01  물을 뿌려 소화할 수 있지만, 기름이나 가스에서 발생한 화재는 젖은 수건  교52-52-I01  도우미 -  6학년
                                                              식물은 햇빛을 받아 스스로 만든 양분에서 에너지를 얻어 살아가고,
                                                           교51-3본-I02
                                       에너지가 필요한 까닭은 무엇일까요
                                                                  교52-4과-I01
                                                      교51-3본-I01
                             으로 촛불을 꺼 보고, 촛불이 꺼진 까닭이 연소의   이나 모래를 덮어 소화할 수 있습니다. 일상생활에서 화재가 발생했을   광합성
                                                              동물은 다른 생물을 먹어 얻은 양분에서 에너지를 얻어 살아갑니다.
                                                                              식물이 빛과 이산화 탄소, 물을
                             조건과 어떤 관련이 있는지 알아봅시다.  때에도 연소의 조건 중 한 가지 이상을 없애면 소화할 수 있습니다.   이용해 스스로 양분을 만드는
                                                              우리가 편리하게 사용하는 기계는 기름, 전기 등에서 에너지를 얻어
                                                                              것을 광합성이라고 해요.
                                                              움직입니다. 이와 같이 생물이 살아가거나 기계를 움직이는 데에는
             다양한          관찰,  추리, 의사소통           배고파.
                                         탐구 능력
                                           문제 해결력
                               『실험 관찰』 29 쪽  사고력 자동차를 움직이려면 기름을 넣거나   기름이 필요해.  일상생활에서 소화하는 방법의 예  다양한 물질이나 에너지 자원에서 얻은 에너지가 필요합니다.  학습 도우미
                             촛불을 끄는 방법 알아보기  전기를 충전해야 합니다. 자동차를 움직   알코올램프의 불을
            탐구 활동                      이려면 왜 기름이나 전기가 필요할까요?         살짝 덮어요. 그리고 뚜껑을
                                                                     끌 때에는 뚜껑을 옆에서
                         안전  준비물     초, 점화기, 집기병, 물, 분무기, 보안경, 반코팅 면장갑, 실험복  교52-54-I02  교61-52-I02  교62-32-I01  에너지를 이용하는 생물과 기계  다시 열어서 불이 꺼졌는지   탐구 도우미
                                                                       교62-34-I02
                                                                  교62-32-I02
                                       에너지를 얻는 방법과 에너지가 필요한
                                                                     확인한 다음에 뚜껑을




              구성        • 반드시 보안경, 반코팅 면장갑,   어떻게 할까요  까닭을 알아봅시다.    닫아서 보관해요.
                        실험복을 착용해요.
                        • 실험 전후에는 창문을 열어   1   초에 불을 붙입니다.    알코올램프 뚜껑을 덮어 산소의 공급 막기
                                    관찰,  추리, 의사소통
                        환기를 해요.   연소와 소화 실험을 안전하게 하는 방법   『실험 관찰』 46 쪽  ~  47 쪽  사고력  의사소통 능력     기름에서 움직이는 데 필요한 에너지를
                        • 불을 다룰 때에는 화상을 입  『실험 관찰』 63`쪽에 있는 ‘연소와 소화 실험을 안전하게 하는 방법’을 확인해요.  얻는 헬리콥터
                        거나 화재가 발생하지 않게   식물과 동물이 에너지를 얻는 방법과 에너지의 필요성 알아보기   연료 조절 밸브를 잠가 탈 물질 없애기
                        주의해요.   2   여러 가지 방법으로 촛불을 꺼 봅시다.      연기를 마시지 않게 주의해요.
            준비물         • 점화기로 장난치지 않아요.  준비물     에너지 카드(『실험 관찰』 85`쪽)     햇빛을 받아 만든 양분에서
                                       어떻게 할까요                     살아가는 데 필요한 에너지를        다양한
                                                                   얻는 식물    햇빛을 받아 만든 양분에서 살아가는 데 필요한 에너
                                       1   에너지 카드를 관찰하고 각 상황에서 식물, 동물, 기계가 에너지를 얻는 방법을   지를 얻는 식물
                                        이야기해 봅시다.                                        사진 자료
                                       2   식물과 동물이 에너지를 얻는 방법을 비교해 봅시다.   물을 뿌려 발화점 미만으로 온도 낮추기
                                       3   에너지가 없다면 식물, 동물, 기계는 어떻게 될지 생각해 보고, 에너지가 필요한
                         1    입으로 불어 봅시다.   2    집기병으로 덮어 봅시다.   3    분무기로 물을 뿌려 봅시다.      다른 생물을 먹어 얻은 양분에서 살아가는 데 필요한
                                        까닭을 모둠원과 이야기해 봅시다.
                                    유리 기구가 깨지지 않게 주의해요.  확인 해요        전기로 전지를 충전해   에너지를 얻는 동물
                                                                   작동하는 데 필요한
                                                                    )(이)라고 합니다.
                                                     1  연소의 조건 중에서 한 가지 이상의 조건을 없애 불을 끄는 것을 (  에너지를 얻는 로봇
                             3    2 에서 촛불이 꺼지는 까닭을 연소의 조건과 관련지어 설명해 봅시다.  2   의사소통 능력  산불이 났을 때 소화하는 방법을 연소의 조건과 관련지어 이야기해 봅시다.
                                       식물은 살아가는 데
                                        필요한 에너지를
                             4   촛불을 끄는 다른 방법을 연소의 조건과 관련지어 제안해 봅시다.
                                        어떻게 얻을까?
                                                                확인 해요
                        64                                                    65
                                                              1  생물이 살아가거나 기계를 움직이는 데에는 (  )이/가 필요합니다.
                                                              2   의사소통 능력  오른쪽과 같은 휴대 전화는 필요한 에너지를 어떻게 얻는지
                      초등과학6-2_③단원(53~74)OK.indd   64  2022-06-17   오후 12:21:10 초등과학6-2_③단원(53~74)OK.indd   65  이야기해 봅시다.  2022-06-17   오후 12:21:13
                                  102                                                  103
                                초등과학6-2_⑤단원(99~118)OK.indd   102  2022-04-07   오후 6:11:25 초등과학6-2_⑤단원(99~118)OK.indd   103  2022-04-07   오후 6:11:44
                                      탐구 활동       과학과           스스로
                                       과정        핵심 역량         확인해요
           창의·융합 활동
            단원의 개념과 연관된 실생활 소재, 최신 과학 동향, 과학 관련 사회적 쟁점 등의 다양한
           내용을 포함하여 구성하였다. 이를 통해 과학과 기술 및 사회와의 상호 관계를 인식할 수 있다.
           또, 과학과 기술, 공학, 예술, 수학 등 타 교과와 연계된 통합적 활동을 함께 구성하였다.
                             계절의 모습이 달라진 미래를
            활동 제목         활동  상상해 글 쓰기               다음은 계절의 기온이 달라질 때 나타날 수 있는 일입니다.
                          사고력
                          의사소통 능력
                              2019`년에서 2020`년에 이르는 겨울의 평균 기온은 3.1`*C로 지난
                                 참여와
                          평생 학습 능력
                             30`년 동안 겨울의 평균 기온보다 2.5`*C 높았습니다. 이는 우리나라
                             에서 본격적으로 기상 관측을 시작한 뒤로 가장 높은 기록입니다. 또,
                                       우리 주변의 소방 시설 소개하기
             과학과             여름에는 계속된 비로 기온이 낮았다가 늦여름 무렵 기온이 매우 높아져   홍수가 자주 일어나요.  못하거나, 주로 자라는   옮기는 생물이
                                                            농작물이 잘 자라지
                                                       비가 더 많이 내리고
                                                                 모기 등 병을
                                                           지역이 달라져요.
                                                                 많아져요.
                                   활동
                             폭염이 나타나는 등 기온 변화가 심해지기도 했습니다.    1   우리 주변에 있는 소방 시설을 찾아봅시다.  준비물     스마트
                                                                              기기, 그림 도구
            핵심 역량            크게 바뀔 수 있습니다. 계절의 모습이 달라진 미래를 상상해 글을 써
                              이렇게 계절의 기온이 달라지면 자연환경이나 우리 생활의 모습이
                                       소방 시설은 소화 기구, 화재가 발생한 것을 알려 주는 기구, 화재가 발생
                                          참여와
                                   평생 학습 능력
                                       했을 때 대피하기 위해 사용하는 기구를 모두 포함합니다.   2   1 에서 찾은 소방 시설을 스마트 기기로 조사해 봅시다.
                             보고, 이러한 변화가 나에게 주는 영향을 생각해 봅시다.  1   계절의 기온이 달라지면 계절의 모습이 어떻게 변할지 이야기해 봅시다.  다양한
                                       소화 기구에는 소화기, 스프링클러 등이 있습니다. 스프링클러는
                                       천장에 설치하여 일정 실내 온도 이상이 되면 자동으로 물을 뿜어 불을
                                    겨울
                                       끕니다. 화재경보기는 불이 났을 때 자동으로 경보음이 울리는 기구입니
                                                     예   겨울철에 눈을 볼 수 없다.
                                    소화기  다. 유도등은 비상시 안전하게 이동하도록 위치를 알려 주는 등입니다.   예  우리 집 소방 시설  활동 구성
            활동 도입                      우리 주변에 있는 소방 시설을 찾아보고 소방 시설을 소개하는 자료를   소화기 소화전
                           여름          만들어 봅시다.                          스프링클러
                                                                         화재경보기
                                                                         가스 경보기
                                                    2   1 의 내용을 바탕으로 하여 미래의 내 하루를 상상해 글로 써 봅시다.  완강기
                                                                      과학 글쓰기 도움말
                                                                        하나의 계절을 선택하고, 그
                                                                     계절의 기온이 달라져서 일어
                                                          년      월      일   날씨:    날 수 있는 일과 그때 나의 기분
                                                              3   2 의 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우리 주변에 있는 소방 시설을 소개하는 자료를
                                                              만들어 봅시다.   등을 자유롭게 상상해 글로 써요.
                                        스프링클러
                                                                             우리 집
                                                                             소방 시설을
                                                                             소개합니다.
                        48                                                    49
                                                  유도등
                      초등과학6-2_②단원(31~52)OK.indd   48  2022-06-17   오후 12:20:44 초등과학6-2_②단원(31~52)OK.indd   49  2022-06-17   오후 12:20:45
                                   가스 경보기    화재경보기
                                  70                                                   71
                                초등과학6-2_③단원(53~74)OK.indd   70  2022-06-17   오후 12:21:50 초등과학6-2_③단원(53~74)OK.indd   71  2022-06-17   오후 12:21:57
           46    제 1 부 2015 개정 교육과정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