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43 - ele_science_6-2_tutor
P. 43

(라) 평가 방법 및 유의 사항
                   • 학생의 에너지에 대한 이해 정도를 알아보기 위해서는 다양한 현상을 에너지 관점에서 자신

                    의 언어로 설명할 수 있는지에 중점을 두어 평가하고, 용어에 대한 암기를 평가하지 않도록
                    유의한다.




                 10  교수  ·  학습 및 평가의 방향


                 가. 교수  ·  학습 방향

                   ‘과학’에서는 탐구 학습을 통하여 과학의 핵심 개념 이해 및 ‘과학적 사고력’, ‘과학적 탐구
                 능력’, ‘과학적 문제 해결력’, ‘과학적 의사소통 능력’, ‘과학적 참여와 평생 학습 능력’ 등과 같은
                 과학과 핵심 역량을 균형 있게 기를 수 있도록 지도하며, 특히 다음 사항에 주안점을 둔다.

                 ⑴  학습 지도 계획 수립 시 학교의 실정이나 지역의 특성, 학생의 능력, 자료의 준비 가능성
                   등을 고려하여 학습 내용과 지도의 시기를 조정할 수 있다.
                 ⑵  학습 내용, 실험 여건, 지도 시간 및 학생의 능력과 흥미 등 개인차를 고려하여 적절한 학습

                   방법을 활용한다.
                 ⑶  강의, 실험, 토의, 조사, 프로젝트, 과제 연구, 과학관 견학과 같은 학교 밖 과학 활동 등의

                   다양한 교수·학습 방법을 적절히 활용한 학생 참여형 수업을 제공한다.

                 ⑷  기초 탐구 과정(관찰, 분류, 측정, 예상, 추리, 의사소통 등)과 통합 탐구 과정(문제 인식,
                   가설 설정, 변인 통제, 자료 해석, 결론 도출, 일반화 등), 수학적 사고와 컴퓨터 활용, 모형의
                   개발과 사용, 증거에 기초한 토론과 논증 등의 기능을 학습 내용과 관련시켜 지도한다.
                 ⑸  과학적 창의성을 계발하고 인성과 감성을 함양하기 위하여 과학 교과 내용과 관련된 기술,

                   공학, 예술, 수학 등의 다른 교과와 통합, 연계하여 지도할 수 있다.

                 ⑹  탐구 활동을 모둠별 협동 학습으로 진행하여 과학 탐구에서 상호 협력이 중요함을 인식시
                   킨다.

                 ⑺  탐구 수행의 모든 과정에서 의사소통을 할 때에는 자신의 의견을 명확히 표현하고 다른
                   사람의 의견을 존중하는 태도를 가지며, 과학적인 근거에 기초하여 탐구 결과를 발표,
                   설득, 수용하도록 지도한다.
                 ⑻  과학 및 과학과 관련된 사회적 쟁점을 활용한 과학 글쓰기와 토론을 통하여 과학적 사고력,

                   과학적 의사소통 능력을 함양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⑼  학생의 지적 호기심과 학습 동기를 유발할 수 있는 발문을 하고, 개방형 질문을 적극 활용
                   한다.
                 ⑽  과학의 잠정성, 과학적 방법의 다양성, 과학 윤리, 과학·기술·사회의 상호 관련성, 과학적

                   모델의 특성, 과학의 본성과 관련된 내용을 적절한 소재를 활용하여 지도한다.


                 ⑾  학생의 이해를 돕고 흥미를 유발하며 구체적 조작 경험과 활동을 제공하기 위해 모형이나
                   시청각 자료, 소프트웨어, 컴퓨터나 스마트 기기, 인터넷 등의 최신 정보 통신 기술과 기기
                   등을 과학 실험과 탐구에 적절히 활용한다. 모형을 사용할 때에는 모형과 실제 자연 현상
                   사이에 차이가 있음을 이해시킨다.


                                                                                        1. 2015 개정 교육과정    41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