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45 - ele_science_6-2_tutor
P. 45

2             과학과 교과용 도서의 개발 방향












                  1  과학과 교과용 도서의 개발 방향


                   2015 개정 교육과정은 우리나라 교육과정이 추구해 온 교육 이념과 인간상을 바탕으로,

                 미래 사회가 요구하는 핵심 역량을 함양하여 바른 인성을 갖춘 창의·융합형 인재를 양성하는
                 데 중점을 둔다. 특히 과학과 교육과정에서는 학습자가 자연 현상과 사물에 대한 흥미와
                 호기심을 바탕으로 탐구하여 과학 개념을 이해하고, 과학적 탐구 능력과 태도를 함양하여
                 개인과 사회의 문제를 과학적이고 창의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과학적 소양을 기르는 데 목표를
                 두고 있다. 이 과정에서 일상의 경험과 관련 있는 상황을 통해 과학 지식과 탐구 방법을 즐겁게

                 학습하고, 과학과 사회의 올바른 상호 관계를 인식할 수 있어야 한다. 또, 학생 활동 중심의
                 자기 주도 학습이 가능한 참여형 수업을 위해 다양한 교수·학습 방법을 제시하도록 요구하고
                 있다.
                   이에 이 교과용 도서는 다음과 같은 개발 방향과 목표를 설정하였다.



                  교육과정을 충실히               • 교육과정을 충실히 구현하고, 교수·학습을 통하여 과학 탐구 기능이
                                1         • 교육과정에서 제시한 과학과 핵심 역량을 함양할 수 있도록 구체적인
                  반영하고 핵심 역량을
                  기를 수 있는 교과서              신장될 수 있도록 한다.

                                           활동과 내용을 포함한다.



                  학습자 중심의
                                2         • 자기 주도 학습이 가능하고 쉽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자기 주도 학습이               • 과학에 대한 흥미와 호기심을 기를 수 있도록 활동과 학습 내용을
                  가능한 교과서                  담는다.





                  과학 기본 개념과 탐구            • 학생 중심의 다양한 탐구 활동을 통하여 탐구 능력과 과학적 문제
                               3           기본 개념을 이해하고, 과학–기술–사회의 상호 관계를 인식하도록
                  경험으로 과학적                 해결력을 키울 수 있도록 한다.
                  소양을 함양할 수               • 실생활, 첨단 과학 기술 관련 내용 등 다양한 소재를 통하여 과학의
                  있는 교과서
                                           한다.



                   이와 같은 목표에 도달하기 위해 이 교과용 도서의 핵심 요소로 교육과정을 충실히 구현
                 하되, 학생 눈높이에 맞춘 활동과 조작이 쉽고 도전 과제가 높지 않은 창의·융합 활동을

                 다양한 탐구와 함께 구성하였다. 또,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추구하는 창의·융합형 인재
                 양성이라는 취지에 맞도록 실생활 소재 및 과학과 기술, 공학, 예술, 수학 등 타 교과와 연계된
                 통합적 내용을 선정하고, 학생들이 흥미와 호기심을 갖고 과학과 핵심 역량을 함양할 수
                 있도록 하였다.


                                                                              2. 과학과 교과용 도서의 개발 방향         43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