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40 - ele_science_6-2_tutor
P. 40

연소의 조건과 관련지어 소화의 조건을 이해하여 화재에 대한 안전 대책을 익힐 수 있도록
           한다.



              • 6과15-01  물질이 탈 때 나타나는 공통적인 현상을 관찰하고, 연소의 조건을 찾을 수 있다.
              • 6과15-02  실험을 통해 연소 후에 생성되는 물질을 찾을 수 있다.
              • 6과15-03  연소의 조건과 관련지어 소화 방법을 제안하고 화재 안전 대책에 대해 토의할
                수 있다.





             탐구 활동
               물질이 탈 때 나타나는 현상 관찰하기

               연소 후 생성되는 물질 확인하는 실험 하기
               다양한 연소 물질에 의해 발생하는 화재 안전 대책 조사하기

           (가) 학습 요소

             •연소 현상, 연소 조건, 연소 생성물, 소화 방법, 화재 시 안전 대책

           (나) 성취 기준 해설

             • 6과15-02  양초나 알코올이 탈 때 생성되는 물질을 간단한 조작을 통해 확인해 보게 한다.
               양초가 연소할 때 발생하는 그을음이 생기는데, 이것은 불완전 연소일 때 나타나는 현상
               이다. 따라서 그을음을 양초가 연소할 때 발생하는 생성물로 설명하지 않도록 한다.
             • 6과15-03  연소의 조건을 하나씩 제거하면 불을 끌 수 있음을 인식하게 하여 일상생활에서
               소화 방법을 찾아낼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나무와 같은 물질과 기름과 같은 물질이 탈 때의
               소화 방법이 다름을 알고, 화재가 발생했을 때 안전 대책을 생각해 보도록 한다.


           (다) 교수·학습 방법 및 유의 사항
             • 학생들은 일상생활에서 다양한 연소와 소화의 예를 경험하게 되므로 학생들의 경험과
               적절히 관련시켜 수업을 진행하도록 한다. 또한 ‘여러 가지 기체’ 영역에서 배운 산소와

               이산화 탄소의 성질을 미리 상기시키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 관련 실험을 할 때는 화재가 발생하지 않도록 유의시키고, 안전 교육을 병행하도록 한다.
             • 이 단원은 초등학교 3 ̄4학년군의 ‘물질의 상태’, 5 ̄6학년군의 ‘여러 가지 기체’, 중학교
               1 ̄3학년군의 ‘재해·재난과 안전’, ‘화학 반응의 규칙과 에너지 변화’와 연계된다.


           (라) 평가 방법 및 유의 사항
             • 양초나 알코올이 타는 모습을 관찰하고 연소와 소화의 관계를 연관 지어 생각해 봄으로써

               탐구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학생들의 탐구 과정을 관찰 평가할 수 있다.
             • 과학실에서나 일상생활에서 볼 수 있는 다양한 연소 및 소화 관련 사진, 시사적인 자료,
               여러 가지 화재의 특징, 화재 안전 대책 등을 조사하고 기록하여 포트폴리오 자료를 평가
               할 수도 있다.


           38    제 1 부 2015 개정 교육과정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