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37 - ele_science_6-2_tutor
P. 37

증산 작용과 줄기를 통한 물의 이동 실험하기
                     광합성 산물 확인하는 실험하기


                 (가) 학습 요소

                   • 세포, 핵, 세포막, 세포벽, 뿌리, 줄기, 잎, 꽃의 구조와 기능, 증산 작용과 광합성, 씨가
                    퍼지는 방법


                 (나) 성취 기준 해설
                   • 6과12-02  식물체에서 물과 양분의 이동 시, 식물의 각 기관이 서로 연결되어 있음을
                    다루도록 한다.


                 (다) 교수·학습 방법 및 유의 사항
                   • 현미경을 이용해 식물 세포를 관찰할 때 세포의 구조는 핵, 세포막, 세포벽 정도만 용어

                    수준에서 다룬다. 세포 관찰 시 식물 세포 영구 표본을 이용하도록 하며, 동물 세포
                    영구 표본도 함께 관찰함으로써 동물도 세포로 구성되어 있다는 것을 인식하게 할 수
                    도 있다. 단, 학습자의 수준에 따라서는 식물 세포 표본을 직접 제작하여 관찰할 수도
                    있다.
                   • 씨가 퍼지는 방법을 이해하는 것뿐만 아니라 씨의 특징을 통해 발명 아이디어를 제공

                    하는 등 식물에 대한 관심과 호기심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동영상이나 인터넷을 활용한
                    사진 자료 등과 같은 보조 학습 자료를 활용해 지도할 수 있다.
                   • 식물의 각 기관의 구조와 기능을 알아본 후, 이 기관들이 서로 관련 있음을 역할놀이를
                    통하여 통합적으로 이해시킬 수 있다.
                   • 초등학교 3 ̄4학년군의 ‘식물의 생활’과 ‘식물의 한살이’ 영역에서는 식물들의 특징을
                    관찰하고 비교하는 데 중점을 두지만, 여기에서는 식물 각 부위의 구조와 기능에 중점을

                    두는 만큼 실험을 통해 탐구할 수 있도록 한다.
                   • 이 단원은 초등학교 3 ̄4학년군의 ‘식물의 생활’, ‘식물의 한살이’, 중학교 1 ̄3학년군의
                    ‘생물의 다양성’, ‘식물과 에너지’와 연계된다.


                 (라) 평가 방법 및 유의 사항
                   • 물의 이동이나 증산 작용, 광합성의 결과로 녹말이 형성됨을 실험을 통해 확인하는 과정을

                    관찰 평가하거나 실험 평가를 활용하는 것이 좋다. 실험에 사용되는 약품명 등과 같은
                    지식을 요구하는 지필 평가는 지양한다.



                 (13) 전기의 이용

                   이 단원에서는 인간의 생활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전기에 대해 학습함으로써 과학의 유용
                 성에 대해 인식하고 과학적 탐구 능력을 기르도록 한다. 간단한 전기 회로를 구성하면서 전구
                 에 불이 켜지는 조건을 알아내고, 전구의 연결 방법에 따라 전구의 밝기가 어떻게 달라지는지
                 비교해 보도록 한다. 전기 회로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일상생활에서 전기를 절약하고 안전


                                                                                        1. 2015 개정 교육과정    35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