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42 - ele_science_6-2_tutor
P. 42

(라) 평가 방법 및 유의 사항
             • 여러 가지 기관의 구조와 기능을 바르게 이해하고 설명할 수 있는지 면담 평가를 할 수

               있다. 우리 몸의 기관들이 서로 유기적으로 관련되어 있음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모형을
               이용해 기관의 위치나 호흡, 소화 과정을 그려 보도록 하여 관찰 평가하거나 서술형 평가
               를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7) 에너지와 생활
             이 단원에서는 에너지 개념으로 다양한 현상을 통합적으로 설명하여 과학적 표현과 의사

           소통 능력을 기르도록 한다. 에너지와 물질은 서로 다른 것임을 알고, 에너지는 자연과 일상
           생활의 현상을 설명하는 유용한 과학적 개념임을 인식하도록 한다. 식물과 동물이 에너지를
           얻는 과정을 포함한 일상생활의 여러 현상을 에너지 관점에서 설명하도록 하고 이러한 모든
           과정은 태양으로부터 공급된 에너지의 전환 과정임을 인식하도록 한다.



              • 6과17-01  생물이 살아가거나 기계를 움직이는 데 에너지가 필요함을 알고, 이때 이용하는
                에너지의 형태를 조사할 수 있다.
              • 6과17-02  자연 현상이나 일상생활의 예를 통해 에너지의 형태가 전환됨을 알고,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을 토의할 수 있다.




             탐구 활동
               식물과 동물이 에너지를 얻는 방법 비교하기

               효율적인 에너지 활용 방법 제안하기

           (가) 학습 요소
             •에너지 형태, 에너지 전환

           (나) 성취 기준 해설
             • 6과17-01  에너지를 정확히 정의하기보다 에너지와 에너지 자원, 에너지와 물질을 구분
               하는 데 초점을 둔다. 에너지의 형태는 열에너지, 전기 에너지, 빛에너지, 화학 에너지,

               운동 에너지, 위치 에너지를 다룬다.
             • 6과17-02  에너지는 물리적 현상, 화학적 현상, 생명 현상, 지구와 우주의 여러 현상을
               설명하는 데 필요한 통합적 개념이므로 에너지 전환이 일어나는 다양한 현상의 예를 들
               도록 한다. 에너지 전환 과정에서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전기 기구, 건축물 등의
               예, 생물이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사례 등을 조사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다) 교수·학습 방법 및 유의 사항

             •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활용하는 사례를 조사하고 새로운 아이디어를 제안하는 과정은
               모둠별 협동 학습이나 프로젝트 학습을 통해 지도할 수 있다.
             • 이 단원은 중학교 1 ̄3학년군의 ‘식물과 에너지’, ‘동물과 에너지’, ‘운동과 에너지’, ‘에너지
               전환과 보존’과 연계된다.


           40    제 1 부 2015 개정 교육과정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