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47 - ele_science_6-2_tutor
P. 47

단원 안내

                 ①  ‘이 단원을 배우며 해결해 봐요’의 각 물음은 성취
                   기준을 내용 순으로 제시한 것으로, 차시별 학습 목표와                              2
                   연관된다.
                 ②  단원을 배우면서 해결할 물음을 미리 살펴보게 하면서

                   차시별 학습 목표를 스스로 인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계절의 변화

                                                                           동해
                                                      단원명
                                                                             이 단 을 배우며 해결해 봐요
                                                                            1  하루 동안 태양 고도, 그림자 길이, 기온은 어떤 관계가 있을까요
                                                  성취 기준 발문                  2  계절에 따라 태양의 남중 고도, 낮과 밤의 길이, 기온은 어떻게
                                                                             변할까요
                                                                            3  계절에 따라 기온이 변하는 까닭은 무엇일까요
                                                   (학습 목표)                  4  계절이 변하는  인은 무엇일까요
                                                                                             31
                                                                초등과학6-2_②단원(31~52)OK.indd   31  2022-06-17   오후 12:18:40
                 단원 열기

                 ① 실생활과 관련된 소재를 이용하여 단원 내용과 관련된 다양한 활동을 구성하였다.

                 ②  단원에 대한 흥미와 관심을 불러일으키기 위한 차시이므로 단원에서 학습할 개념을 직접
                   적으로 언급하지 않도록 한다.


                                   달력이 알려 주는 계절의 변화         우리 반 절기 달력 만들기
                                                            준비물     달력, 그림 도구
                                    우리나라는 봄, 여름, 가을, 겨울의 사계절이 있습니다. 조상들은 계절에
                  활동 제목            따라 기온, 비의 양, 낮과 밤의 길이 등이 일정하게 달라지는 것을 알고,   내 생일 무렵에는
                                   시기별로 절기를 만들어 생활에 이용했습니다.               서늘한 바람이 불고
                                                                          단풍이 들었어.
                                    절기에는 매우 더운 날인 ‘대서’나 눈이 많이 내리는 날인 ‘대설’처럼
                                   날씨의 특징을 나타내는 것이 있습니다. 또, 모내기를 하는 날인 ‘망종’처럼   마술로 촛불 끄기
                                            기체를 이용한 촛불 마술
                                   계절에 따라 할 일을 나타내는 것도 있습니다.
                                    내 생일을 이용해 나만의 절기를 만들고, 우리 반 절기 달력을 꾸며 계절의   준비물     초, 점화기, 탄산음료, 컵, 보안경, 면장갑, 실험복  다양한
                                   특징을 나타내 봅시다.  나라네 모둠은 기체를 이용한 촛불 마술을 소개했습니다. 먼저 촛불이  1    같은 달에 생일이 있는 사람끼리 모둠을   2    내 생일에 주로 나타났던 날씨나 자주
                                            잘 타는 마술을 보면서 마술에 이용한 기체를 생각해 봅시다. 또, 촛불을  이루고, 모둠별로 그 달의 달력을 한 장  했던 일을 생각하며 나만의 절기를 정해
                                            직접 꺼 보는 마술을 하면서 어떤 기체를 이용했는지 알아봅시다.  씩 나눠 가집니다.  봅시다.  점화기  활동 구성
                   실생활과                    ●  약품이 피부나 옷에 닿지 않게 주의해요.   4    모둠별 달력을 모아
                                                                       초
                                           ●    실험이 끝나면 사용한 물질은 선생님의   우리 반 절기 달력을
                                         안내에 따라 정해진 곳에 버려요.
                  관련한 소재로           가을이 되니                            1    초에 불을 붙입니다.
                                                                       완성해 봅시다.
                                                                        •반드시 보안경, 면장갑, 실험복을 착용해요.
                                   구름이 줄고 하늘이   묽은 과산화           단풍 날       •점화기로 장난치지 않아요.  2    컵에 탄산음료를 2 정도 따라 낸 뒤,
                                                                                  /
                                                                                  3
                                   더 맑아졌어!
                                                                      •실험 전후에는 창문을 열어 환기를 해요.
                                         수소수
                   도입 내용                          나무도                            병마개를 닫고 가볍게 2`회 ̄3`회 흔듭

                                                                               니다.
                                                                               단풍 날
                                                 단풍이 들었네.
                                             감자 껍질
                     구성                   자른 감자 껍질을 병에 넣고   병마개를 열고 병 입구에   3    달력에서 내 생일을 찾아 절기의 이름을   촛불 마술 끝!
                                         묽은 과산화 수소수를 넣습니다.  촛불을 가까이 합니다.  쓰고, 뜻을 나타내는 그림을 그립니다.
                                                 병마개를 닫습니다.
                                           촛불이 잘 타는 마술을
                                            보여 드리겠습니다.
                                                              완성한 절기 달력을 보고, 계절별 특징이 어떻게 다른지 이야기해 봅시다.
                                                                      3    병마개를 천천히 열고 탄산음료
                                                                      병의 입구를 촛불 위로 가까이 한
                                                                      뒤, 촛불의 변화를 관찰해 봅시다.
                                                                          탄산음료가 병 밖으로 흘러나오지 않게 조심
                                                                      해요.
                               32                                       촛불이 꺼질 때 연기를 마시지 않게 주의해요.        33
                                                  촛불을 잘 타게 한   우리가 배웠던 기체를      촛불 마술에 이용한 두 가지 기체가 무엇인지 생각해 봅시다.
                                                       생각해 보자!
                             초등과학6-2_②단원(31~52)OK.indd   32  응. 신기하다!  기체가 뭘까? 2022-06-17   오후 12:18:41 초등과학6-2_②단원(31~52)OK.indd   33  2022-06-17   오후 12:18:51
                                      촛불이 잘 타네.
                                       54                                                    55
                                      초등과학6-2_③단원(53~74)OK.indd   54  2022-06-17   오후 12:19:21 초등과학6-2_③단원(53~74)OK.indd   55  2022-06-17   오후 12:19:30
                                                                 활동 내용을
                                                                정리하는 질문
                 차시(탐구) 활동
                 ①  도입 질문과 삽화를 통해 탐구 활동에 흥미롭게 접근하도록 구성하였다. 이때 질문은 각

                   차시별 학습 목표와 연관된다.
                 ②  탐구 활동은 실험하기, 관찰하기, 분류하기, 표현하기, 조사하기, 토의하기, 발표하기, 설명

                   하기, 만들기 등과 같은 구체적인 활동(기능)을 포함하여 학습자가 흥미와 호기심을 갖고
                   실제 수행 가능한 것을 선정하였고, 과학과 핵심 역량을 함양할 수 있는 구체적인 내용을
                                                                              2. 과학과 교과용 도서의 개발 방향         45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