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33 - ele_science_6-2_tutor
P. 33

• 용액의 색이나 냄새를 관찰하는 방법과 지시약 등을 이용한 객관적인 분류 기준을 적용
                    하여 용액을 분류하는 과정을 관찰 평가하거나 보고서 평가를 할 수 있다.

                   • 실험 및 토의 활동을 할 때 모둠원들과 협력적 의사소통을 통해 결과를 이끌어 내는 과정
                    중심 평가를 실시할 수 있다.


                 (9) 지구와 달의 운동
                   이 단원에서는 일상적으로 경험하는 태양과 달이 뜨고 지는 현상, 달의 모양 변화 등을 탐
                 구함으로써 천문 현상에 대한 흥미와 호기심을 갖도록 한다. 하루 동안 태양과 달의 위치가

                 달라지는 것을 지구의 자전으로 설명하며, 지구의 공전으로 인해 계절에 따라 별자리가 달
                 라진다는 것을 이해하도록 한다. 또한 관찰을 통하여 여러 날 동안 달의 모양과 위치가 주기
                 적으로 바뀌는 것을 인식하도록 한다.



                    • 6과09-01  하루 동안 태양과 달의 위치가 달라지는 것을 지구의 자전으로 설명할 수 있다.
                    • 6과09-02  계절에 따라 별자리가 달라진다는 것을 지구의 공전으로 설명할 수 있다.
                    • 6과09-03  달의 모양과 위치가 주기적으로 바뀌는 것을 관찰할 수 있다.




                  탐구 활동
                     하루 동안 태양과 달의 위치 변화 관찰하기
                     계절별 대표적인 별자리 찾아보기

                     여러 날 동안 같은 시각에 보이는 달의 모양과 위치 관찰하기

                 (가) 학습 요소
                   • 지구의 자전과 공전, 낮과 밤, 하루 동안 달의 위치 변화, 계절별 별자리 변화, 달의 위상

                    변화

                 (나) 성취 기준 해설

                   • 6과09-02  별자리 명칭보다는 계절에 따라 보이는 별자리가 다르고 별자리의 위치가 달라
                    지는 까닭을 이해하는 데 초점을 둔다.
                   • 6과09-03  달의 모양과 위치가 주기적으로 바뀌는 현상을 관찰하여 확인하는 데 초점을
                    둔다. 지구에서 보이는 달의 모양, 즉 위상이 변하는 까닭은 다루지 않는다.


                 (다) 교수·학습 방법 및 유의 사항
                   • 이 단원에서는 관찰과 실험을 중심으로 지구와 달의 운동과 관련된 개념을 이해하고 지구
                    와 달의 운동에 의하여 일어나는 현상을 탐구할 수 있는 활동이 필요하다.

                   • 하루 동안 달의 위치 변화, 여러 날 동안 달의 모양 변화 등은 관찰 시기와 방법을 안내한
                    후 관찰하도록 한다. 특히 야간에 달을 관찰할 경우 안전 사항을 준수하도록 한다.
                   • 이 단원은 초등학교 5 ̄6학년군의 ‘계절의 변화’, 중학교 1 ̄3학년군의 ‘태양계’, ‘별과
                    우주’와 연계된다.


                                                                                        1. 2015 개정 교육과정    31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