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82 - ele_society_5-2_tutor
P. 182

교과서  56~57   쪽

                     민족 문화를                                                         어떻게 하루 만에 한글을 읽을 수 있지?

                                                                              그건 세종 대왕이 한글을 과학적으로 만드셨기 때문이야. 자음은
                     지켜 나간 조선                                                발성 기관의 모양을 본떠 만들었고, 모음은 하늘 · 땅 · 사람의 모양을 본떠
                                                                             만들었어. 그리고 이러한 자음과 모음을 조합하면 무려 11,172개의 글자를
                                                                             만들 수 있대.
                                                                     발성 기관을 보고 만든 닿소리(자음)  자연을 본뜬 홀소리(모음)

                       조선을 세우는 데 힘쓴 인물들의 업적을 말할 수 있습니다.                                           (•) 하늘
                        임진왜란, 병자호란과 같은 국가적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노력한        ㄱ 어금닛소리  ㄴ 혓소리  ㅁ 입술소리    하늘의 둥근 모양을 본떠 만듦.
                      인물들의 업적을 설명할 수 있습니다.
                     유민이와 친구들은 세종 대왕의 동상 앞에서 한국말로 이야기하는 외국인을 보았습니다.                               (이) 사람
                                                                                            사람이 서 있는 모양을 본떠 만듦.
                                                                                                  (으) 땅
                                                                     ㅅ 잇소리  ㅇ 목구멍소리         땅의 평평한 모양을 본떠 만듦.
                          한글은 글자를     나는 하루
                         조합해서 만드는     배우고 한글을                                 얘들아, 만일
                         방법을 알면 쉬워.  읽을 수 있었어.                              세종 대왕이 한글을 만들지
                                                                   우아! 한글은 정말          한자를 쓰고   영어 알파벳을
                                                                             않았다면 우리는 지금   있지 않았을까?
                                                                   우수한 문자군요.                     사용하고
                                                                             어떻게 살고 있을까?
                                                                                               있을 수도 있어.

                                                                   한글을 사용하면서 우리 문화는 어떻게 달라졌을까요?

                                       저기 외국인들이
                                       한글을 읽고 있어.
          56 56    옛사람들의 삶과 문화                                                              3. 민족 문화를 지켜 나간 조선 57 57








            도입 자료 소개                                         하여 만들었습니다.
                                                              제시된 자료를 보고 한글을 사용하면서 우리의 생활과
             우리 주변이나 텔레비전에서 대한민국을 방문한 외국
                                                             문화가 어떻게 달라졌는지 생각해 보는 시간을 가질 수
           인과 세계 여러 나라의 사람들이 한글을 배우고 익혀 사
                                                             있도록 하였습니다.
           용하는 모습을 종종 볼 수 있습니다. 국제적인 언어로 한
           글의 위상이 높아지고 있지만, 한글을 쉽게 익히고 쓸 수
           있는 까닭이나 한글의 우수성을 잘 모르는 사람이 많습
                                                                       한글을 사용하면서 우리 문화는 어떻게 달라
           니다.                                                       졌을까요?

             한글은 세종이 만든 독창적이고 과학적인 문자로, 글
                                                             예시 답안
           자의 모양과 소리에 여러 가지 과학적 원리가 담겨 있습
                                                             • 우리나라만의 독창적인 과학, 기술, 문화가 발전하게
           니다. 자음은 발음 기관의 모양을 본떠 만들었기 때문에
                                                              되었습니다.
           글자 모양만 보고도 그 글자의 소리를 짐작할 수 있습니
                                                             • 민족 문화가 발전하게 되었습니다.
           다. 또 기본 글자에 획을 더하여 같은 계열의 문자를 만
           들었습니다.

             모음은 하늘의 둥근 모양을 본뜬 ‘·’와 땅의 평평한 모
           양을 본뜬 ‘ㅡ’, 사람이 서 있는 모양을 본뜬 ‘ㅣ’를 결합



           180    각론
   177   178   179   180   181   182   183   184   185   186   1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