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84 - ele_society_5-2_tutor
P. 184

17~18 차시
                                                                                        교과서  58~59   쪽
              1        조선의 건국과 나라의 기틀을                          조선의 건국

                                                                 이성계와  정도전을  비롯한  신진  사대부들은  일부  지배층과  사원이
                       세우는 과정을 알아볼까요                            차지하고  있던  토지를  원래  주인에게  돌려주고,  억울하게  노비가  된
                                                                사람들을 원래 신분으로 되돌렸다. 또한 새로운 관리에게 토지를 지급
                                                                하고 나라의 재정을 튼튼하게 하였다.
                       고려 말의 상황                                  이후 이성계는 고려를 유지하려는 세력을 없애고 조선을 건국하였다.
                        고려 말에 나라 안팎은 매우 혼란스러웠다. 일부 지배층과 불교 사원은   조선을  건국한  사람들은  유교의  가르침에  따라  나라를  다스리고자
                       넓은 토지를 차지하고 세금을 내지 않았으며, 가난한 백성을 노비로     하였다.
             성리학  인간의 마음과 우주의   만들었다. 또한 홍건적과 왜구가 고려를 자주 침략하여 백성의 삶이
             원리를  탐구하는  유학의  한     매우 힘들어졌다.
             학파.
                        이때 성리학을 공부한 정도전, 정몽주 등의 신진 사대부가 이성계를         이성계와 신진 사대부가 꿈꾼 나라
             신진 사대부  고려 말 성리학을   비롯한 새로운 무인 세력과 손을 잡았다. 이들은 고려 사회의 문제점을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해 보자.
             공부한  뒤  과거  시험을  통해
             문관이 되었던 사람들.  해결하려고 하였다.
                                                                           백성은               왕은
                                                                         나라의 근본이다.       인자한 마음으로 정치를
                                                                      그러므로 나라를 다스리는 사람은  해야 한다. 배우자나 부모,
                        외적의 침입을 물리치며 이성계를 비롯한 새로운 무인 세력이 성장하였다.
                                                                        백성의 삶을 보호하는 것을   자식이 없어 의지할 곳이 없는 사람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해야 한다.  신경 써서 보살펴야 한다. 관아에서는
                                                                                        굶주리고 가난한 사람을 도와주고,
                                                                                          세금을 면제해 주어라.
                       가난한 백성은
                       송곳 꽂을 땅도
                        없구나.
                                                                           정도전               이성계
                                                                     1    정도전과 이성계가 만들려고 한 나라의 모습과 관련된 중심 내용에 밑줄을 그어 보자.
              토지나 권력이 일부 세력에 집중되어 문제가 발생하자,                          2  이성계와 정도전이 어떤 나라를 만들고 싶어 했는지 이야기해 보자.
              신진 사대부가 사회 개혁을 주장하였다.
          58 58    옛사람들의 삶과 문화                                                              3. 민족 문화를 지켜 나간 조선 59 59





            차시   안내                                          수업   흐름

             수업 목표                                           도입
              조선의 건국 과정을 설명할 수 있다.
                                                               동기 유발하기
              조선의 제도 정비 과정을 파악할 수 있다.
                                                             •  이전 시간에 공부한 내용과 교과서 58쪽 그림을 보면서 이
             수업의 흐름                                           야기해 봅시다. 고려 말에 나라 안은 왜 혼란스러웠나요?

                                                              –  일부 지배층과 불교 사원이 넓은 토지를 차지하고 세금
                   고려 말 나라 안팎에서 일어난 혼란 상황 이야기
             도입
                   하기                                           도 내지 않았으며 가난한 백성을 노비로 만들었습니다.
                                                             • 나라 밖은 왜 혼란스러웠나요?
                   ➊ 조선의 건국 과정 살펴보기
                   ➋    탐구해요 이성계와 신진 사대부가 꿈꾼 나라               –  홍건적과 왜구가 고려를 자주 침략하였습니다.
                   ➌ 조선의 도읍이 된 한양 살펴보기                       •  당시 고려의 백성은 왕실이나 지배층을 보면서 어떤 생각
             전개    ➍ 나라의 기틀을 세우기 위한 노력 알아보기
                                                              을 하였을까요?
                   ➎ 아! 그렇구나 조선의 여러 제도
                   ➏ 탐구해요 수령의 임무                              –  외적의 침입을 제대로 막지 못하는 무능한 나라라고
                                                                생각하여 원망하는 마음이 컸을 것 같습니다.
                   조선의 건국 과정과 제도 정비 과정 정리하기
             정리
                                                              –  누군가 나서서 자신들을 구하길 원하였을 것 같습니다.
                                                              –  고려가 망하고 새 나라가 들어서길 바랐을 것 같습니다.
                                                                 지도상의 유의점  학생들이 자신의 생각을 자유롭게 말하도록
                                                              하고 답변을 강요하거나 유도하지 않도록 주의한다.


           182    각론
   179   180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