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87 - ele_society_5-2_tutor
P. 187

1
                  • 흥인지문: 동쪽 문으로 인자함[仁]을 일으켜야 한다                        정도전이 한양 도성을 설계하고 건설함.
                    는 의미를 담았다.                                        -  유교 사상에 따라 경복궁, 종묘, 사직단 등의 위               단원

                  • 돈의문: 서쪽 문으로 의리[義]를 지키고자 노력해야                        치와 이름을 정함.
                    한다는 의미를 담았다.                                      -  도성을 드나드는 사대문의 이름을 유교에서 강조
                  • 숭례문: 남쪽 문으로 예의[禮]를 존중한다는 의미를                        하는 덕목을 담아 지음.
                    담았다.
                                                                    교과서 자료
                  • 숙정문: 북쪽 문으로 지혜로움[智]의 의미를 담고 있
                    으나, 정숙하고 조용하기를 바라는 의미로 숙정이라                      교과서 61쪽 용어 종묘
                    고 하였다.

                 •  유교에서 강조하는 다섯 가지 덕목 중에서 네 가지가 사대
                   문의 이름에 반영되었습니다. 네 가지 덕목이 무엇인가요?
                  –  흥인지문의 ‘인’, 돈의문의 ‘의’, 숭례문의 ‘례’, 숙정
                    문에 담긴 ‘지’입니다.


                                                                     ▲  종묘 정전(서울특별시 종로구)
                   이런 활동을 할 수 있어요
                                                                        조선 왕조 역대 왕과 왕비 및 추존된 왕과 왕비의
                    한양 도성의 변화 살펴보기                                   신주를 모신 사당으로, 가장 정제되고 장엄한 건축물
                   –  현대 지도를 이용하여 조선 시대의 사대문과 궁궐,                    중 하나이다. 왕과 왕비의 신주를 모신 정전과 영녕
                     종묘, 사직단 등의 위치를 확인하고 이 외에 남아                     전, 제례 준비에 필요한 몇몇 부속 건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찾아보는 활동을 할 수 있다.                          있다. 각 건물은 조상신의 영혼을 모신 엄숙하고 경
                    경복궁에 담긴 유교 정신 알아보기                               건한 공간이기 때문에 최소한의 색만 사용하고 화려
                   –  경복궁에 있는 건물의 이름에 담긴 유교 정신을 조                    한 단청을 하지 않았으며 장식과 기교를 최대한 절제
                     사하는 활동을 할 수 있다.                                 하였다. 현재 정전에는 19실에 49위, 영녕전에는 16
                   ①  경복궁 조감도를 보면서 근정전, 사정전 등 각 건                    실에 34위의 신위가 모셔져 있다.
                      물의 이름과 쓰임새 등을 간략하게 설명해 준다.                                         - 문화재청(www.cha.go.kr) -
                   ②  컴퓨터나 스마트 기기를 이용하여 각 건물의 이름
                                                                     교과서 61쪽 용어 사직단
                      에 담긴 내용을 조사하여 발표하게 한다.
                     예   • 근정전: 나라를 다스리는 일을 부지런히 하라
                         는 뜻이 담겨 있습니다.
                        • 사정전: 깊이 생각해서 바른 정치를 하라는 뜻
                         이 담겨 있습니다.



                   판서하기
                   3. 조선의 도읍이 된 한양

                       이성계가 오늘날 서울의 한강 북쪽인 한양을 새로                    ▲  사직단(서울특별시 종로구)
                      운 도읍으로 정함.                                       토지의 신과 곡식의 신에게 제사를 지내 나라의 근
                       한양을 도읍으로 정한 까닭                                본인 백성의 평안을 기원한 제단이다. 토지의 신에게
                     - 한강이 흘러 교통이 편리함.                               제사 지내는 국사단은 동쪽에, 곡식의 신에게 제사
                     - 토지가 비옥하여 인구가 많고 물자가 풍부함.                      지내는 국직단은 서쪽에 배치하였다. 이곳에서는 2월
                     -  주변이 산으로 둘러싸여 외적의 침입을 막아 내                    과 8월 그리고 동지와 섣달 그믐에 제사를 지냈다.
                       기 쉬움.                                                     - 국가문화유산포털(www.heritage.go.kr) -



                                                                                                         185
                                                                                            옛사람들의 삶과 문화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191   1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