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88 - ele_society_5-2_tutor
P. 188
17~18 차시
교과서 62~63 쪽
나라의 기틀을 세우기 위한 노력
수령의 임무
조선은 전국을 8도로 나누고, 그 아래에 군현을 두어 수령을 파견
지방에 파견된 수령이 고을을 다스리면서 어떤 일을 했는지 알아보자.
하였다. 또한 16세 이상의 남자에게 호패를 지니고 다니도록 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인구수를 파악하고 세금을 거두었다. 갑동이네 소를 왜
호패(국립중앙박물관) 조선 시 왕을 상징하는 수령이 고을의
대에 자신의 신분을 나타내 조선은 여러 제도를 정비하여 왕권을 강화하고 나라의 기틀을 세워 나무패를 모신 허락 없이 사용하였느냐? 업무를 처리하는
기 위하여 지니고 다녔던 직 객사 동헌
사각형의 패. 나갔다. 그 결과 사회는 점차 안정되어 갔다.
전하, 직접 찾아뵙지 못하고
조선의 여러 제도 객사에서 인사 올립니다.
백성을 잘 다스리겠습니다.
조선의 왕은 나랏일을 독단적으로 결정하지 않고 신하의 말에 귀 기울였다. 또한 법에 기초하여
나라를 다스렸으며, 왕과 백성을 위해 일할 수 있는 인재를 관리로 뽑았다.
농사는 나라의 근본이니,
삼사 설치 『경국대전』편찬 가뭄에 대비해서
논에다 물을 채워 넣게.
언론 기관의 역할을 하는 세 개의 기관 지금의 헌법이라고 할 수 있는 『경국대전』
(삼사)을 두어 왕이 잘못에 빠지지 않게 을 편찬하여 법에 따라 나라를 다스리고
하고 권력의 독점을 막았다. 사회 제도를 정비하였다.
전하, 경국대전에 따라
나라를 다스려라. 백성이 열심히 공부하여
아니되옵니다.
농사짓는 과거에 합격해 나라를 지방의 학생들이
토지 위해 봉사하거라. 유학을 공부하는
향교
왕을 대신하여 수령이 고을을 다스린다는 것을
왕을 상징하는 나무패를 왜 객사에 모셨을까요?
과거제 시행 백성에게 널리 알리기 위해서입니다.
수령은 동헌에서 어떤 업무를 처리했을까요?
과거 시험을 통해 지식과 무예를 갖춘 인재를 관리로
뽑았다.
수령은 왜 농업을 장려했을까요?
수령은 왜 유학 공부를 열심히 하라고 했을까요?
조선을 건국한 사람들은 ( )의 가르침에 따라 나라를 다스리고자 하였다.
62 62 옛사람들의 삶과 문화 3. 민족 문화를 지켜 나간 조선 63 63
➍ 나라의 기틀을 세우기 위한 노력 알아보기 ➎ 아! 그렇구나 _ 조선의 여러 제도
• 조선은 지방을 다스리기 위해 행정 구역을 어떻게 구분하 • 조선은 나라를 다스리기 위해 여러 정치 기구를 만들었습
고 운영하였나요? 니다. 그중에는 언론 기관의 역할을 하는 세 개의 기관이
– 전국을 8도로 나누었습니다. 있었는데, 무엇이라고 불렀나요?
– 도 아래에 군현을 두어 수령을 파견하였습니다. – 삼사라고 불렀습니다.
• 삼사의 역할은 무엇인가요?
• 군현에 수령을 파견한 까닭은 무엇인가요?
– 왕이 지방까지 직접 다스릴 수 없기 때문에 왕을 대신 – 왕이 잘못에 빠지지 않게 하였습니다.
하여 수령을 보냈습니다. – 권력의 독점을 막았습니다.
– 왕이 내린 명령이나 정책이 수령을 통해 군현에서도 • 조선 시대에 지금의 헌법이라고 할 수 있는 법전이 편찬되
었습니다. 법전의 이름이 무엇인가요?
이루어지게 하기 위해서입니다.
– 『경국대전』입니다.
• 조선은 16세 이상의 남자에게 호패를 지니고 다니도록 하
였습니다. 호패는 무엇인가요? • 법전은 나라의 법을 한데 모은 것입니다. 조선이 법전을
편찬하였다는 것을 통해 무엇을 알 수 있나요?
– 자신의 신분을 나타내는 일종의 신분증입니다.
– 조선의 왕이 법에 기초하여 나라를 다스렸다는 것을
• 왜 호패를 지니고 다니게 했나요?
알 수 있습니다.
– 인구수를 파악하고 세금을 거두는 데 필요하였습니다.
– 법에 따라 사회 제도를 정비하였음을 알 수 있습니다.
지도상의 유의점 남자만 호패를 가졌다는 사실을 남녀 차별로
• 법에 따라 나라를 다스리면 어떤 점이 좋을까요?
받아들일 수 있다. 16세 이상 남자는 노동력 동원이나 군역의 대
상이었기 때문임을 설명한다. – 왕이나 관리가 마음대로 나라를 다스릴 수 없습니다.
186 각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