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92 - ele_society_5-2_tutor
P. 192

19~20 차시
                                                                                        교과서  66~67   쪽


                                     한글을 만들기 전과 만든 후에
             세종의 훈민정음 창제
              조선에는  한자가  우리말과  달라서  글을   달라진 백성의 생활 모습
                                                                                    남편이 겨울에
             읽지 못하는 백성이 많았다. 세종은 백성이                                          제 남편에게   춥다고 옷을 보내
                                                                             들은 소식이 없소?
                                                                                   달라고 했습니다.
             글자를 몰라 생활 속에서 큰 어려움을 겪거나   백성이 한자를 몰라
             억울한  일을  당하는  것을  안타깝게  여겨     큰 어려움을 겪고 있구나.
                                        모두가 쉽게 읽을 수 있는
             훈민정음을 창제하고 반포하였다. 훈민정음은    문자를 만들어야겠다.
             읽고  쓰기  편리하고,  대부분의  소리를  표현
             할 수 있는 독창적인 문자였다.                                                       열어 보세요
              세종은 훈민정음을 널리 보급하기 위하여
             관리와 사대부 집안의 여성에게도 배우도록
                                                                                    충신, 효자, 열녀의
             하였다.  또한  『용비어천가』를  지어  조선의                           여기에 뭐라고         이야기를 모은 책이라
                                                                   써 있는 거요?                 부모님을
             건국을 찬양하였다. 이후 훈민정음으로 『삼강                                               는데, 이게 무슨   어떻게 해야 잘
                                                                                     내용일까?   모실 수 있지?
             행실도』와 같은 책을 펴내 유교의 가르침을
             일반 백성에게 널리 알리는 데에도 힘썼다.
             『삼강행실도』  중국과 우리나라의 충신과 효자, 열녀의 이야기를
             그림과 함께 담았으며, 성종 때에 한글로 뜻을 풀어 썼다.
                                                                        열어 보세요              열어 보세요
                        『훈민정음』 「해례본」(국립
                        중앙박물관)  훈민정음의
                        창제  과정을  기록한  책
                        이다.
                        『용비어천가』(서울역사박
                        물관)  훈민정음으로 지은
                        첫 번째 책이다. 조선 왕조
                        의 건국이 하늘의 뜻이었
                        음을 찬양하는 내용을 담      위의  상황  외에  달라진  모습에는  어떤  것이
                        고 있다.
                                   있을까요?
                                                                     세종은 글자를 모르는 백성을 위해 (  )을/를 만들었다.
          66 66    옛사람들의 삶과 문화                                                              3. 민족 문화를 지켜 나간 조선 67 67

           ➋  세종의 훈민정음 창제 알아보기                                –  다른 사람을 통해 말을 전해 들어 의사소통이 제대
           •  훈민정음이 창제되기 전에 조선에서는 어떤 글자를 사용                     로 되지 않아 오해가 생겼을 것 같습니다.
             하였나요?                                               지도상의 유의점  학생들에게 글을 읽고 쓸 수 없어 겪을 수 있

             – 중국의 글자인 한자를 사용하였습니다.                           는 어려움을 생각하게 하여 세종이 훈민정음을 창제한 까닭을
             –  한자음을 빌려 썼습니다.                                 자연스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  하지만 당시에는 글을 읽거나 쓸 줄 모르는 사람이 많았는                •  세종이 훈민정음을 만든 까닭은 무엇인가요?
             데, 그 까닭은 무엇인가요?                                  –  백성이 글자를 몰라 생활 속에서 큰 어려움을 겪거
             – 한자는 우리말과 달라 사용하기 어려웠습니다.                         나 억울한 일을 당하는 것을 안타깝게 여겼기 때문
             – 한자 수가 많아 배우고 익히기 힘들었습니다.                         입니다.
           • 한자는 누가 사용하였나요?                                  •  훈민정음을 만들었을 때 반대한 사람이 있었을까요? 있다

             – 왕족이나 관리, 양반 등 지배층이 사용하였습니다.                    면 왜 반대하였을까요?
           •  많은 백성이 글자를 몰라 일상생활에서 어려움을 겪었습                   –  높은 자리에 있는 관리나 지배층이 반대하였을 것
             니다. 어떤 어려움이 있었을까요?                                 같습니다. 훈민정음은 이미 사용하고 있는 한자와
             – 책을 읽지 못하고 편지도 쓰지 못하였습니다.                         원리나 사용 방법이 달라서 한자를 익히는 데 도움
             –  억울한 일을 당해도 글을 몰라 관청이나 관리에게                      을 주지 못한다고 생각했기 때문입니다.
               호소하는 것이 힘들었을 것 같습니다.                           –  새로운 문자를 만드는 것은 한자를 쓸 줄 모르는 일

             –  나랏일을 알리는 벽보가 있어도 읽지 못하여 벌을                      본이나 여진과 같은 오랑캐가 하는 일이라고 생각하
               받거나 피해를 보았을 것 같습니다.                              는 사람들이 반대하였을 것 같습니다.


           190    각론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95   196   1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