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94 - ele_society_5-2_tutor
P. 194
21 차시
교과서 68~69 쪽
3 의 사회 모습을 중인은 양반과 상민의 중간 신분으로, 주로 관청에서 일하거나 전문직에
알아볼까요 종사하였다. 그림을 그리는 화원, 의학을 공부한 의관, 외국 사람의
말을 통역하는 역관 등이 중인에 속하였다.
상민은 대부분 농업이나 어업, 수공업 등 생산 활동에 종사하면서
나라에 세금을 냈다. 이들은 나라에 큰 공사가 있거나 전쟁이 났을 때
신분에 따른 생활 모습 불려 가기도 하였다.
천민은 가장 낮은 신분으로 대부분이 노비였다. 백정, 광대, 무당 등도 백정 소나 말 등 가축을 잡는
조선 시대에 사람들은 태어나면서부터 신분이 정해졌으며, 신분에
사람.
천민에 속하였다. 노비는 양반의 집이나 관청에 속하여 허드렛일을
따라 다르게 생활하였다. 양반은 관리가 되어 나랏일에 참여하였고,
하거나 물건을 만드는 일을 하였다.
역 나라의 큰 공사에 동원되 각종 역에서 제외되었다. 또한 넓은 땅과 집, 노비를 가지고 있었으며,
거나(부역) 군대에 가는 것(군
역)을 의미함. 자신의 땅을 농민들에게 빌려주고 그 대가를 받기도 하였다.
조선 전기 사람들의 생활 모습
다음 그림은 16세기 조선의 한 마을을 상상하여 나타낸 것이다. 그림 속 가 ~ 라 사람들의
상황을 살펴보고 각 인물의 신분이 무엇일지 이야기해 보자.
다 나라에 세금을 내야
할 때가 돌아오는군.
큰 배움의 길은 밝은 덕을
밝히는 데 있고, 백성을 내 몸처럼
가까이하는 데 있으며 지극히
좋은 선에 머무는 데 있다. 지난번보다 많이
나아졌으니, 한 번 더
약을 지으러 오게나.
가
주인마님이 시키신
일을 빨리 끝내야지. 라
조선 시대에 사람들은 ( )에
나 따라 다르게 생활하였다.
68 옛사람들의 삶과 문화 3. 민족 문화를 지켜 나간 조선 69 69
68
차시 안내 수업 흐름
수업 목표 도입
조선 전기 각 신분의 생활 모습을 설명할 수 있다.
전시 학습 내용 확인하기
조선 전기 여성의 삶을 설명할 수 있다.
• 세종 대에 이룬 문화 발전을 말해 볼까요?
수업의 흐름 – 측우기, 간의, 앙부일구 등 다양한 과학 기구가 만
세종 대의 과학 기술과 훈민정음 창제 내용 떠올 들어졌습니다.
도입
리기 – 우리 고유 문자인 훈민정음이 만들어졌습니다.
➊ 신분에 따른 생활 모습 살펴보기 • 세종이 훈민정음을 창제한 뒤에 달라진 백성의 생활 모습
➋ 탐구해요 조선 전기 사람들의 생활 모습 을 말해 볼까요?
전개 ➌ 별별 이야기 신사임당을 통해 살펴본 조선 전 – 한글로 된 책을 읽게 되었습니다.
기 여성의 삶
– 억울한 일을 한글로 써서 호소하였습니다.
• 조선 전기 신분에 따른 생활 모습 정리하기
정리
• 조선 전기 여성의 삶 정리하기
전개
➊ 신분에 따른 생활 모습 살펴보기
• 조선 시대에는 어떤 신분이 있었나요?
– 양반, 중인, 상민, 천민이 있었습니다.
192 각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