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98 - ele_society_5-2_tutor
P. 198

22~23 차시
                                                                                        교과서  74~75   쪽


                             병자호란 이전 조선의 상황                     병자호란의 결과
               후금             임진왜란 이후 만주에서는 후금이 일어나 힘이 약해진       전쟁 이후 조선과 청은 신하와 임금의 관계를 맺었다. 청은 조선의
                     동해      명을 위협하였다. 명은 후금을 몰아내기 위해 조선에       세자를 비롯해 많은 신하와 백성을 청으로 끌고 갔다. 포로로 끌려간
                조선
                             군대를 보내 줄 것을 요청하였다.                 조선인은  추위와  굶주림  때문에  죽기도  하였다.  이들은  청에  몸값을
               황해      일본
              조선,             광해군은 명과 후금 사이에서 중립 외교를 펼치면서       내야만 조선에 돌아올 수 있었기 때문에, 몸값을 내지 못한 백성 대부분은
             도와주시오.  남해
                             조선이  다시  전쟁에  휘말리는  것을  막고자  하였다.     조선으로 돌아오지 못하였다.
             명
                             하지만  이  정책은  임진왜란  때  조선을  도와준  명에
             병자호란 이전 조선과 주변 나라의 모습
                             대한 의리를 중시하는 신하들의 반발을 가져왔다. 이들은
             중립 외교  한 나라에 치우치  광해군을 몰아내고 인조를 왕으로 세웠다.                병자호란 당시 청으로 끌려갔던 사람들의 삶
             지 않고 각 나라에 같은 중요도
             를 두는 외교.                                                    다음 글을 읽고 병자호란 때 청으로 끌려갔던 사람들에 대해 알아보자.
                       병자호란의 전개
                                                                      청군이 수십만 명의 조선인을 끌고 갔다. …… 조선인이 무언가를 말하려고 하면 쇠몽둥이로 때렸다.
              1592년  임진왜란  인조가 명과 친선 관계를 강화하고 후금을 멀리하자, 후금은 조선을      …… 청의 도읍에 도착하기까지 60일 동안 옷을 벗지 못한 채 자야 했기 때문에 온몸에 이가 들끓었다.
              1597년  정유재란  침략하였다.  하지만  조선과  후금이  형제  관계를  맺는다는  조건으로
              1627년  정묘호란  전쟁을 끝냈다(정묘호란). 이후 후금은 세력을 키워 나라 이름을 청으로
              1636년  병자호란  고쳤다. 청은 조선에, 두 나라의 관계를 임금과 신하의 관계로 바꿀 것을
                       요구하였는데, 조선이 이에 응하지 않자 다시 쳐들어왔다(병자호란).                                조선인을 반드시
                                                                                         데리고 와야 합니다.

                        청군은 빠른 속도로 한양으로 내려왔고 인조와 신하들은 강화도로                               왕은 빈부귀천 구분
                                                                                          없이 백성을
                       피신하려다가  길이  막혀  남한산성으로  들어갔다.  하지만  남한산성은                         대해야 합니다.
                       식량과 무기가 부족하여 오랜 기간 전쟁하기에 적합하지 않았다. 성안                                      최명길
                       에서 신하들은 청과 싸우자는 입장과 청과 화의하자는 입장으로 나뉘
             삼전도  오늘날 서울특별시 송                                        1    조선인이 청으로 끌려갈 때 어떤 어려움을 겪었는지 써 보자.
             파구에 있는 나루터로, 조선 시  었다. 상황이 불리해지자 결국 인조는 남한산성에서 나와 45일 만에
             대에 한양과 남한산성을 이어
             주던 나루.    삼전도에서 청 태종에게 항복하였다.
                                            명과의 의리를 저버리고
                                            오랑캐인 청에 항복할 수            2  청에 끌려간 조선인을 데리고 오는 것에 대해 최명길은 어떻게 생각하였는지 써 보자.
                지금 조선은 식량과 무기가             없습니다. 임금과 신하, 백성이
               부족하여 청에 맞서 싸우기 어려운           힘을 합친다면 청을 물리칠 수
               상황입니다. 청에 화의를 청하고              있을 것입니다.
               뒷날을 꾀해야 할 것입니다.
                                                                     ‌ ‌ 임진왜란‌때‌이순신이‌이끄는‌(  )와/과‌곽재우를‌비롯한‌(  )‌등이‌활약
                                               남한산성                  하였다.
                           최명길         김상헌
           74 74    옛사람들의 삶과 문화                                                             3. 민족 문화를 지켜 나간 조선 75 75
           ➎  병자호란 이전 조선의 상황 알아보기                            • 인조는 어떤 외교 정책을 펼쳤나요?
           •  임진왜란 이후 중국 대륙에서 어떤 변화가 나타났나요?                   –  명과 친선 관계를 강화하였습니다.
             – 만주에서 후금이 일어나 명을 위협하였습니다.                       – 후금을 멀리하였습니다.
             –  명이 후금을 몰아내기 위해 조선에 군대를 보내 줄
               것을 요청하였습니다.                                   ➏  병자호란의 전개 과정과 결과 알아보기
           • 광해군은 주변 나라의 상황 변화에 어떻게 대응하였나요?                  • 인조의 외교 정책은 어떤 결과를 가져왔나요?
             – 명과 후금 사이에서 중립 외교를 펼쳤습니다.                       –  후금이 조선을 침략하는 정묘호란이 일어났습니다.
           • 중립 외교는 무엇인가요?                                   •  조선은 후금이 침략하자 어떻게 대응하였나요?
             –  한 나라에 치우치지 않고 각 나라에 같은 중요도를                   –  조선과 후금은 형제 관계를 맺기로 약속하고 전쟁을

               두는 외교를 말합니다.                                     끝냈습니다.
           • 광해군은 왜 중립 외교를 펼쳤나요?                             •  이후 후금은 청으로 이름을 고치고 조선을 다시 침략하는
             –  명이든 후금이든 한 쪽에 치우치는 외교를 하면 다                   병자호란을 일으켰습니다. 청은 왜 조선을 침략하였나요?
               시 전쟁에 휘말릴 수 있기 때문입니다.                          –  청이 조선에, 두 나라의 관계를 임금과 신하의 관계
           •  광해군의 중립 외교에 대해 신하들은 어떻게 생각하였나요?                   로 바꿀 것을 요구하였지만 조선이 거절하였기 때문
             –  임진왜란 때 조선을 도와준 명에 대한 의리를 저버                     입니다.

               리는 행동이라고 생각하였습니다.                             • 청의 침략에 인조와 신하들은 어떻게 대응하였나요?
           •  중립 외교에 반발한 신하들은 어떤 행동을 하였나요?                    –  인조와 신하들은 강화도로 피신하려다가 길이 막혀
             –  광해군을 몰아내고 인조를 왕으로 세웠습니다.                        남한산성으로 들어갔습니다.


           196    각론
   193   194   195   196   197   198   199   200   201   202   2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