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01 - ele_society_5-2_tutor
P. 201

수업 참고 자료
                                                                                                                   1

                  17 18      차시                                      한양의 사대문에 담긴 의미                                단원
                     ~

                                                                    조선은 한양 도성 안 건축물의 이름에 방위와 유교적
                    고려 말 사회 혼란과 신진 사대부의 주장
                                                                  덕목을 표기하여 그 상징성을 강조하였다. 기본적으로
                   홍건적과 왜구의 침략이 이어져 전쟁이 계속되는 동안
                                                                  사대문에는 조선 시대 정치 이념이자 유교 덕목인 인·
                 백성의 삶은 더욱 어려워졌다. 그러나 지배층은 이러한
                                                                  의·예·지·신을 오행 방향에 따라 이름 붙였다. 특히 서
                 국가 위기를 해결하기는커녕 백성이 피란하거나 몰락하
                                                                  쪽의 돈의문에는 불의의 전쟁이나 내란에 대응하는 적
                 는 사정을 악용해서 빈 땅을 차지하고, 몰락 농민에게 고
                                                                  극적인 논리로 ‘의(義)’가 붙여졌다. 이는 불의를 보면 기
                 리대를 놓아 노비로 만들었다. 심지어 왜구가 침략하면
                                                                  꺼이 일어나 잘못된 것을 바로잡고자 하는 실천적 행동
                 일부러 전투를 피해 그 지역을 황폐하게 만들고, 왜구가
                                                                  을 표방한 것이다.
                 물러가면 돌아와 그 땅을 차지하는 사례도 있었다. 또 군
                                                                    동쪽을 뜻하는 ‘인(仁)’은 서쪽의 ‘의(義)’와 대비된다.
                 인을 모을 때도 권문세족의 경작민과 노비는 빼고 힘없
                                                                  ‘인’은  사랑하는  마음으로  부드러움을  나타내는  반면,
                 고 약한 백성만 동원하였다. …… 오랜 전쟁 동안 국가와
                                                                  ‘의’는 옳고 바름으로서 옳지 않음을 물리치는 절도 있고
                 집권층의 무능을 체험하면서 개혁에 대한 사회적 공감대
                                                                  올바른 행동으로 표현되는 강함을 나타낸다. 조선은 ‘인
                 가 형성되었다. 그 선두 주자가 신진 사대부라고 불리는
                                                                  의(仁義)’로서 조화를 이룬 가치관이 실행되는 사회를 만
                 새로운 정치 세력이었다.
                                                                  들고자 동쪽과 서쪽에 흥인지문과 돈의문이라는 현판을
                   신진 사대부는 소수의 권문세족이 장악한 정치와 국가
                                                                  둔 것이다. 그리고 남쪽에는 ‘예(禮)’의 숭상을 강조하는
                 운영 체제의 한계를 인식하고 국가 운영에서 법치와 공
                                                                  숭례문이라는 현판을 걸었다.
                 공성을 강조하였다. 이들은 관료제뿐만 아니라 국가의
                                                                               - 나각순, 「서울 한양 도성의 기능과 방위 체제」,
                 모든 제도를 법으로 규정하여 자의적, 관행적으로 운영                                            서울역사편찬원, 2012, 14쪽 -
                 하던 것을 금지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이들의 구상은
                 원에 유학하여 중국의 제도를 연구하면서 더욱 다듬어졌
                                                                     『경국대전』
                 다. 신진 사대부는 공민왕 때 반원 정책을 추진하면서 원
                                                                    『경국대전』은 조선의 기본 법전이다. 조선은 국가 운
                 의 제도도 낡은 것으로 치부하고 더욱 선진적인 명의 제
                                                                  영의 기본이 되는 법전을 완성함으로써 고려보다 한 단
                 도를 수용하자고 주장하였다.
                                                                  계 발전한 중앙 집권적 통치 체제를 확립할 수 있었다.
                                 - 김인호 외, 『미래를 여는 한국의 역사 2』,
                                                                  『경국대전』은 『주례』의 6전 체제에 따라 총 6개의 법전으
                                    웅진지식하우스, 2011, 265~266쪽 -
                                                                  로 나뉘는데, 각 전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한양 도성 건축
                                                                         통치의 기본이 되는 중앙과 지방의 관제, 관리의 종별, 관
                                                                   이전
                   이성계는 국가의 뿌리를 튼튼하게 다지고자 1394년                          리의 임면 등에 대한 내용이 수록되어 있다.
                 에 개경에서 한양으로 천도하였다. 한양은 옛 전통과 풍                          호적 제도, 토지 제도, 조세 제도 등 경제와 관련된 내용이
                                                                   호전
                 수지리, 유교적 이념에 따라 건설되었다.                                  수록되어 있다.
                   궁궐을 백악산 기슭의 명당자리에 건립하고, 『주례』에                   예전    과거제, 외교, 제례, 상장과 묘지 등의 내용이 수록되어 있다.
                 따라 궁궐의 왼쪽에는 왕실 조상신을 모시는 종묘를, 오                    병전    군제와 군사에 관련된 내용이 수록되어 있다.

                 른쪽에는 토지와 곡식의 신을 모시는 사직을 두었다. 궁                    형전    형벌, 재판 등에 대한 규정 등 법과 관련된 내용이 수록되
                                                                         어 있다.
                 궐 앞 대로에는 6조를 비롯한 주요 관청을, 흥인지문과
                                                                   공전    도로·교량 등의 교통, 도량형 등의 내용이 수록되어 있다.
                 돈의문 그리고 숭례문을 ‘丁’ 자로 연결하는 중심 대로에
                 는 상업 시설인 시전을 설치하였다.                                   - 김돈, 『뿌리 깊은 한국사 샘이 깊은 이야기 4 - 조선 전기』,
                           - 서울역사박물관, 『서울 한양 도성』, 2019, 38쪽 -                               가람기획, 2019, 64~65쪽 -


                                                                                                         199
                                                                                            옛사람들의 삶과 문화
   196   197   198   199   200   201   202   203   204   205   2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