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97 - ele_society_5-2_tutor
P. 197
교과서 72~73 쪽
➌ 수군과 의병의 활약 살펴보기 1
• 계속 패배하던 조선군은 수군과 의병의 활약으로 전세를
수군과 의병의 활약 단원
뒤집기 시작하였습니다. 이후 전쟁이 어떻게 전개되었는
의병 나라가 위기에 처했을 조선군은 일본군에 계속 패배하다가 수군과 의병의 활약으로 전쟁의
때 스스로 일어나 싸운 의로운
군대. 상황을 뒤집기 시작하였다. 이순신은 거북선과 판옥선을 만들고 식량과 지 말해 볼까요?
무기를 준비하여 일본군을 크게 물리쳤다. 전국 곳곳에서는 곽재우를
비롯한 의병이 일어났다. 의병은 익숙한 지리를 잘 활용하여 적은 병력 수군과 의병이 활약하고 있을 무렵, 명의 지원군이 도착하여 조선군과 – 이순신의 수군이 일본군에 승리하였습니다.
으로 일본군에 큰 피해를 주었다. 함께 평양성을 되찾았다. 또한 권율은 행주산성에서 관군과 의병을
이끌고 일본군과 싸워 승리하였다. 전세가 불리해진 일본군은 강화를 – 의병이 일어나 일본군에 피해를 주었습니다.
명군의 진로 임진왜란 때 관군과 의병의 활약 제안하였지만 실패하자 조선을 다시 침략하였다(정유재란).
일본군의 침입로
관군 장군 – 명의 지원군이 도착하여 조선군과 함께 평양을 되찾
의병장 회령 이순신은 수군을 다시 정비하고 명량에서 일본군을 물리쳤다. 얼마
뒤 도요토미 히데요시가 죽자 일본군이 철수하기 시작하였다. 이때
백두산 았습니다.
경성
명 이순신이 노량 앞바다에서 철수하는 일본군을 상대로 크게 승리하면서
삼수
명의 원군 갑산 길주 정문부 7년간의 전쟁이 끝났다. – 권율이 행주산성에서 관군과 의병을 이끌고 싸워 승
의주
묘향산 휴정(서산 대사)
임진왜란의 결과 리하였습니다.
평양 탈환 평양 오랜 전쟁으로 수많은 사람이 죽거나 포로로 일본에 끌려갔고 토지가
조선과 명의 연합군 황폐해졌다. 또한 불국사, 경복궁, 사고 등 수많은 문화유산이 불타 • 전세가 불리해진 일본군은 강화를 제안하였지만 실패하자,
금강산 유정(사명 대사) 사고 역사책과 같은 나라의
중요한 책을 보관하던 곳.
버렸고 서적과 그림 등을 일본에 빼앗겼다. 다시 침략하였습니다. 이후 전쟁은 어떻게 전개되었나요?
행주 대첩 벽제관 동 해
권율 행주산성 한성 조선
수원
신립 임진왜란 때 나라를 지켰던 곽재우 – 이순신의 수군이 명량에서 승리하였습니다.
충주
안동
황 해 옥천 상주
조헌 군위 의병들은 양반부터 천민까지 신분의 높고 낮음을 떠나서 자신이 살고 있는 고장과 나라를 지키기
금산 경주 곽재우 – 도요토미 히데요시가 죽자 일본군이 철수하기 시작
고경명 위해 무기를 들고 일어났다.
담양 남원 의령 창녕 정발 · 송상현
김덕령 진주 부산포 곽재우는 경상도 의령에서 자신의 재산을 털어 의병을 일으켰다. 그는 스스로 ‘하늘에서 내려온 붉은
광주 하였습니다.
김천일 나주 일본군 20만 상륙
장흥 한산도 (1592) 옷의 장군’이라고 하였다. 곽재우는 의병의 수가 많은 것처럼 꾸며 일본군을 속이기도 하고, 익숙한
일본
한산도 대첩 지형에 숨어 있다 갑자기 공격하는 전술로 일본군을 물리쳤다.
명량 해전 노량 해전 남 해 이순신 – 이순신이 노량 앞바다에서 철수하는 일본군을 크게
이순신 이순신
진주 대첩
제주도
물리치면서 7년간의 전쟁이 끝났습니다.
김시민
• 전쟁의 결과 조선은 어떤 피해를 입었나요?
72 옛사람들의 삶과 문화 3. 민족 문화를 지켜 나간 조선 73
73 – 많은 사람이 죽거나 포로로 일본에 끌려갔습니다.
– 토지가 황폐해지고 불국사, 경복궁 등이 불탔습니다.
➍ 아! 그렇구나 _ 임진왜란 때 나라를 지켰던 곽재우
➋ 아! 그렇구나 _ 일본군과 치열한 전투를 벌인 동래부 사
• 임진왜란 중에 활약한 의병은 어떤 사람들이었나요?
람들
– 신분과 관계없이 나라가 위기에 처했을 때 스스로
• 교과서 71쪽에 있는 그림을 통해 당시 동래성의 전투 상황
을 알 수 있습니다. 어떤 모습이 보이나요? 무기를 들고 싸움에 나선 의로운 사람들입니다.
– 성안에는 관군이, 성 밖에는 일본군이 있습니다. • 의병 곽재우는 어떤 활약을 하였나요?
– 지붕 위에서 아낙네들이 일본군에게 기왓장을 던지 – 자신의 재산을 털어 의병을 일으켰습니다.
고 있습니다. – 의병의 수가 많은 것처럼 꾸미거나 익숙한 지형에
– 동래부사 송상현이 “싸워 죽기는 쉬우나, 길을 빌려 숨었다가 공격하는 전술로 일본군을 물리쳤습니다.
주기는 어렵다.”라는 내용이 쓰인 나무를 던지고 있
습니다. 판서하기
– 일본군이 성벽을 무너뜨리고 성안으로 들어오고 있 1. 임진왜란의 전개와 극복
습니다. 일본군이 부산진과 동래성 공격 → 일본군의 한양
– 동래성이 무너지자 송상현이 왕에게 마지막 예를 올 점령 → 선조와 조정의 의주 피란 → 이순신이 이
끄는 수군의 활약, 의병의 활약 → 명의 지원군 도
리고 있습니다. 전개
착 → 권율의 행주 대첩 → 강화 회담 실패 → 일
수업 제안 「동래부 순절도」는 하나의 그림 안에 시간이 다른 본의 재침략 → 이순신의 명량 해전 → 이순신의
여러 장면을 동시에 나타낸 그림이라는 것을 알려 준다. 노량 해전 승리로 전쟁이 끝남.
• 일본군은 항복을 권유하였으나 동래부사 송상현이 거부하 •수많은 사람이 죽거나 포로로 일본에 끌려감.
결과
자 공격을 퍼부었습니다. 성안에서 관군과 백성이 힘을 합 •토지가 황폐해짐, 불국사와 경복궁 등이 불탐.
해 일본군에 항전하였지만 결국 패배하였습니다.
195
옛사람들의 삶과 문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