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95 - ele_society_5-2_tutor
P. 195
교과서 70 쪽
➌ 별별 이야기 _ 신사임당을 통해 살펴본 조선 전기 여성 1
의 삶
신사임당을 통해 살펴본 4 임 과 을 단원
조선 전기 여성의 삶 • 신사임당은 누구인가요?
극복하기 위한 노력을 알아볼까요
– 율곡 이이의 어머니입니다.
신사임당은 어려서부터 유교 경전을 공부
하였고 시를 짓거나 그림을 그리는 일에 – 시도 잘 짓고 그림도 잘 그린 뛰어난 예술가였습
임진왜란의 전개
뛰어난 재능을 발휘하였다. 예술 활동에 1592년 “명으로 가는 길을 빌려 달라.”라는 구실을 내세우며 일본군이
전념하였던 신사임당은 이원수와 결혼하여 니다.
조선에 쳐들어왔다(임진왜란). 일본군은 부산진과 동래성을 무너뜨리고
칠 남매를 돌보고 한동안 친정에서 살았다.
• 신사임당이 살았던 당시에 여성들은 나랏일을 할 수는 없
한양으로 빠르게 향하였다.
그녀는 자녀 교육에도 힘써 아들인 율곡
이이를 훌륭한 학자로 길렀으며, 남편을 전쟁이 시작된 지 얼마 되지 않아 일본군이 한양을 무너뜨리자,
대신하여 집안 살림과 경제활동을 도맡아 었지만, 가정에서는 크고 작은 일을 책임지며 남성과 동등
선조와 조정은 의주로 피란하였다. 이후 일본군이 평양과 함경도까지
「초충도」(오죽헌 시립박물관)
가정을 꾸려 나갔다. 한 대우를 받았습니다. 조선 전기에 여성들은 어떻게 살았
점령하자 조선은 명에 지원군을 요청하였다.
그림을 보면 치열한
신사임당 전투가 벌어진 동래부의
상황을 알 수 있어요.
나요?
일본군과 치열한 전투를 벌인 동래부 사람들
어머니는 어렸을 때 경전을 두루 읽었고 – 자녀를 돌보았습니다.
다음은 임진왜란 때 일본군에 맞서 싸운 동래부 사람들의 모습을 그린 그림이다.
글을 잘 지었으며 글씨도 잘 썼다. 신씨는 어렸을 때부터 그림을 잘
특히 일곱 살 때부터 안견의 그림을 그렸다. 그녀가 그린 포도화와 산수화는
모방하여 산수화를 그렸다. 뛰어나서 그림을 보는 사람들이 – 옷감을 만들거나 물건을 사고파는 경제활동도 하였
어머니가 그린 병풍과 족자가 안견에 버금간다고 하였다. 이각과 몇몇 조선
세상에 널리 전해지고 있다. 아! 어찌 부인의 그림이라고 하여 군이 도망가는 모
소홀히 여길 수 있겠는가? 습니다.
습이다.
안견 조선 전기의 화가.
율곡 이이 어숙권 일본군이 성의 동쪽 벽을
– 남자 형제와 구분 없이 부모의 제사를 번갈아 가며
무너뜨리고 성안으로 들어
지붕 위에서 아낙
오는 모습이다.
네들이 일본군에게
신사임당의 아들인 이이와 그를 가르쳤던 어숙권은 신사임당을 뛰어난 화가로 평가하였다. 조선 지냈고, 부모의 재산도 차별 없이 나누어 받았습니다.
기왓장을 던지는 모
전기에 여성들은 가정에서 자녀를 돌보고 교육하는 일과 함께 옷감을 만들거나 농사를 짓고 물건을 습이다.
사고파는 경제활동에 참여하였다. 동래부사 송상현이
결혼한 이후 여성은 한동안 남편과 함께 친정에서 살았다. 또한 부모님이나 조상에 대한 제사를 일본군에게 “싸워
죽기는 쉬우나, 길을 동래성이 무너지자 송상
지낼 때에도 아들딸 구분 없이 번갈아 가면서 지냈다. 재산을 나눠 줄 때에도 아들과 딸을 차별하지
빌려주기는 어렵다.” 현이 왕에게 마지막 예를
않았다. 정리 라는 내용이 쓰인 올리는 모습이다.
나무를 던지는 모습
이다. 「동래부 순절도」(육군사관학교 육군박물관)
70 70 옛사람들의 삶과 문화 학습 내용 정리하기 3. 민족 문화를 지켜 나간 조선 71
• 조선 전기 각 신분의 생활 모습을 정리해 봅시다.
• 조선 전기 여성의 삶을 정리해 봅시다.
• 각 신분은 어떻게 살았는지 말해 볼까요? 확인해요
– 양반은 관리가 되어 나랏일을 하고 각종 역에서 제 • 이번 시간에 배운 내용을 정리해 봅시다.
외되었습니다. 많은 땅과 집, 노비를 가지고 있었습
니다. 조선 시대에 사람들은 ( 신분 )에 따라 다르게 생
활하였다.
– 중인은 관청에서 일하거나 전문직에 종사하였습니다.
– 상민은 농업, 어업, 수공업 등 생산 활동에 종사하
차시 예고하기
면서 나라에 세금을 바쳤습니다.
• 다음 시간에는 임진왜란과 병자호란을 극복하기 위한 노
– 천민의 대부분은 노비인데, 노비는 양반 집이나 관
력을 알아보겠습니다.
청에 속하여 허드렛일을 하였습니다.
판서하기
➋ 탐구해요 _ 조선 전기 사람들의 생활 모습
1. 조선 전기 신분에 따른 생활 모습
다음 그림은 16세기 조선의 한 마을을 상상하여 양반 관리가 되어 나랏일 참여, 각종 역에서 제외됨.
나타낸 것이다. 그림 속 ㉮~ ㉱ 사람들의 상황을 살펴 주로 관청에서 일하거나 전문직에 종사함. → 화
중인
보고 각 인물의 신분이 무엇일지 이야기해 보자. 원·의관·역관 등이 속함.
예시 답안 생산 활동에 종사하면서 나라에 세금을 바침, 나
상민
㉮는 양반, ㉯는 노비, ㉰는 상민, ㉱는 중인입니다. 라에 큰 공사가 있거나 전쟁이 나면 불려 나감.
가장 낮은 신분, 대부분은 노비이며 백정·광대·
지도상의 유의점 각 인물의 신분을 판단한 근거를 들어 이 천민
무당 등도 속함.
야기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193
옛사람들의 삶과 문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