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91 - ele_society_5-2_tutor
P. 191
전개 • 앙부일구는 어떤 기구인가요? 1
– 해가 만든 침의 그림자 위치로 시간을 측정하는 해
➊ 세종 대의 과학 기술 발전 살펴보기 단원
시계입니다.
• 세종에 대해 알고 있는 것을 말해 볼까요?
• 세종은 사람들이 많이 다니는 길목에 앙부일구를 설치하
– 한글을 만들었습니다.
여 누구나 시계를 볼 수 있게 하였습니다. 그런데 앙부일
– 측우기와 해시계, 물시계를 만드는 등 과학에 관심 구에 왜 동물 그림이 있을까요?
이 많았습니다.
– 글을 모르는 백성을 위해 시각을 동물 그림으로 표
지도상의 유의점 세종에 대해 학생들이 자유롭게 이야기하게 현한 것입니다.
하여 수업 참여를 이끌어 낸다.
• 과학 기구는 백성의 생활에 어떤 도움을 주었을까요?
• 세종이 궁궐 안에 설치한 학문 연구 기관은 무엇인가요?
– 백성이 농사를 짓는 데 도움을 주었습니다.
– 집현전입니다. – 백성이 일상생활을 하면서 시간을 알 수 있게 해 주
• 집현전에서는 어떤 일을 하였나요? 었습니다.
– 유능한 인재들이 모여 학문을 체계적으로 연구하였 • 조선 시대에 금속 활자 기술은 더욱 발전하였고, 세종은
습니다. 이를 활용하여 많은 책을 펴냈습니다. 『농사직설』은 어떤
– 다양한 책을 수집하고 보관하는 업무를 담당하였습 책인가요?
니다. – 우리나라의 풍토에 맞는 농사짓는 방법을 소개한 책
– 세종에게 여러 분야의 전문 지식을 알려 주거나 세 입니다.
종이 가진 궁금증에 답을 하는 역할도 하였습니다. • 『칠정산』은 어떤 책인가요?
– 다양한 과학 기구를 만들었으며 많은 책을 펴냈습 – 한양을 기준으로 우리나라 실정에 맞게 만든 역법입니다.
니다. • 『향약집성방』은 어떤 책인가요?
• 세종 대에 어떤 과학 기구가 만들어졌는지 살펴봅시다. 측 – 우리나라의 풍토에 알맞은 치료법과 우리나라에서
우기는 어떤 기구인가요?
나는 약재를 소개한 책입니다.
– 비가 내린 양을 측정하는 기구입니다. • 세종은 왜 중국의 농법, 역법, 약재를 사용하지 않고 『농사
• 비가 내린 양을 측정한 까닭은 무엇인가요? 직설』, 『칠정산』, 『향약집성방』 등의 책을 펴냈을까요?
– 농사짓는 데 비의 양이 중요하기 때문입니다. – 우리나라의 지리적 특징과 기후가 중국과 달라 우리
• 농사가 잘되게 하는 것은 왕의 일 중에서 가장 중요한 것 의 실정에 맞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이었습니다. 세종은 측우기를 만들어 백성이 농사짓는 데 – 우리나라의 실정에 알맞은 정보와 지식을 정리하고
도움을 주려고 하였습니다.
알리기 위해서입니다.
측우기를 왜 궁궐과 각 지역에 설치하여 비가 내
판서하기
린 양을 측정하였을까요?
1. 세종 대의 과학 기술 발전
예시 답안
세종은 유능한 인재를 모아 체계적으로 학문을 연
- 지역마다 비가 오는 양이 다르기 때문입니다.
구하기 위하여 집현전을 확대 운영함.
• 간의는 어떤 기구인가요? 세종은 집현전 학자들과 다양한 과학 기구를 만들
고 책을 펴냄.
– 해, 달, 별의 위치를 측정하는 데 사용된 기구입니다.
• 해와 달의 위치를 왜 측정하였나요? 과학 기구 측우기, 간의, 앙부일구 등을 만듦.
정교해진 금속 활자를 활용함. → 우리 실정에
– 달력을 만드는 데 필요하였습니다.
책 맞게 『농사직설』, 『칠정산』, 『향약집성방』 등을
– 해와 달의 위치를 통해 농사짓는 시기를 알 수 있기 펴냄.
때문입니다.
189
옛사람들의 삶과 문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