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90 - ele_society_5-2_tutor
P. 190

19~20차시
                                                                                        교과서  64~65   쪽
              2              대에 이룬 문화 발전의                                                  침의 그림자가 뱀 모양을

                       모습을 알아볼까요                                                           가리키고 있으니, 지금은
                                                                                            오전 9시쯤 되겠구먼.

                                    과학 기구
             세종 대의 과학 기술 발전
              조선은 세종 대에 이르러 과학 기술과 문화
             등  여러  부분에서  크게  발전하였다.  세종은
             유능한 인재를 모아 체계적으로 학문을 연구
             하기 위하여 집현전을 확대 운영하였다.
              세종은 백성이 안정된 생활을 할 수 있도록
             농업을 장려하고, 다양한 과학 기구를 만들    측우기(국립고궁박물관)
                                    비가 내린 양을 측정하기 위한 과학 기구로, 궁궐과
             었다. 또한 이전보다 정교해진 금속 활자를                                                      앙부일구(국립고궁박물관)
                                   각 지역에 설치하였다.
                                                                                     해가 만든 침의 그림자 위치로 시간을 측정하는 해시계로, 사람
             활용하여 많은 책을 펴내 각종 지식을 보급                                   간의(경기도 여주시)   들이 많이 다니는 길목에 설치하여 누구나 시계를 볼 수 있게
                                        측우기를 왜 궁궐과 각 지역에 설치하여
                                                                 해와 달, 별의 위치를 측정하는 데 사용한 과학 기구로, 경복궁과
             하는 데 힘썼다.                비가 내린 양을 측정하였을까요?         창경궁에 설치하였다.          하였다. 특히 글을 모르는 백성을 위하여 시각을 동물 그림으로
                                                                                     표현하였다.
                                    서적 편찬
                                                                                 왜 세종 대왕은
             집현전  조선  전기에  학문을                                                  중국의 농법, 역법,
             연구하기  위해  설치한  기관.
             도서의 수집과 보관, 학문 연                                                  약재를 사용하지 않고,
                                                                               이런 책들을 편찬하게
             구, 왕의 자문 역할을 담당함.
                                                                                한 것일까요?
                                                                                                    우리나라의 지리적
                                                                                                  특징과 기후가 중국과
                                                                                                 달라서, 우리의 실정에 맞는
                                                                                                  농법과 의학 등이 필요했기
                                       『농사직설』(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칠정산』(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향약집성방』(한독의약박물관)   때문이에요.
                                       우리나라의 풍토에 맞는 농사짓는 방법을     외국의 사례를 연구·비교하여 한양을 기준으로 우리나라     우리나라의 풍토에 알맞은 치료법과
                                       소개한 책이다.                 실정에 맞게 만든  역법이다.      우리나라에서 나는 약재를 소개한 책이다.
                                            풍토  기후와 토지의 상태.     역법  천체의 움직임을 살펴 시간을 구분하고 날짜를 정하는 방법.
          64 64    옛사람들의 삶과 문화                                                              3. 민족 문화를 지켜 나간 조선 65 65
            차시   안내                                          수업   흐름

             수업 목표                                           도입
              세종 대의 과학 기술 발전을 설명할 수 있다.
                                                               전시 학습 내용 확인하기
              훈민정음 창제의 의미를 파악할 수 있다.
                                                             •  고려 말에 나라 안팎으로 어떤 문제점이 있었나요?
             수업의 흐름                                           –  일부 지배층과 불교 사원이 넓은 토지를 차지하고

             도입    조선의 건국 과정과 여러 제도 떠올리기                        가난한 백성을 강제로 노비로 만들었습니다.
                                                              –  홍건적과 왜구가 자주 침략하였습니다.

                   ➊    세종 대의 과학 기술 발전 살펴보기
                   ➋    세종의 훈민정음 창제 알아보기                     • 어떤 사람들이 조선을 세웠나요?

             전개    ➌      한글을 만든 후 달라진 백성의 생활 모습 알아



                                                              –  정도전을 비롯한 신진 사대부와 이성계가 손을 잡고
                     보기
                                                                조선을 세웠습니다.
                   세종 대에 이룬 과학 기술과 훈민정음 창제의 의
             정리                                              •  조선을 건국한 사람들은 어떻게 나라를 다스렸나요?
                   미 정리하기
                                                              –  유교의 가르침에 따라 다스렸습니다.
                                                             •  조선이 나라의 기틀을 세우기 위해 정비한 여러 제도를 말
                                                              해 볼까요?
                                                              –  전국을 8도로 나누고 군현에 수령을 보냈습니다.

                                                              –  삼사를 설치하고, 과거제를 시행하였습니다.


           188    각론
   185   186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