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95 - ele_math_5-1_tutor
P. 195

수 64~65쪽 익 38~39쪽
                          수업   흐름

                             도입                                                                진단 평가                        3
                                                                                              [1~2] 표를 보고 ◯와 ☐, 와 ☆
                         • 전에 배운 내용을 확인할 때  진단 평가 를 활용할 수 있다.
                                                                                              사이의 대응 관계를 식으로 나타내
                         • 차시 학습 목표와 학습할 내용을 안내하여 인식하도록 한다.                                   보세요.
                                                                                              1.   ◯
                             전개                                                                        2   3    4   5
                                                                                                  ☐    4   6    8  10
                         ➊ 대응 관계를 찾아 식으로 나타내기              추론      창의·융합      정보 처리      태도 및 실천     ◯×2=☐ (또는 ☐÷2=◯)

                         • 학교 주변에서 찾을 수 있는 대응 관계인 두 양에는 어떤 것이 있을까요?
                                                                                              2.      7   5    9   4
                              - 화분 수와 심어진 식물 수입니다.
                                                                                                  ☆    4   2    6   1
                              - 책상 수와 의자 수입니다.
                                                                                                 -3=☆(또는 ☆+3=)
                         • 그림에서 서로 대응하는 두 양을 찾아 이야기해 보세요.
                              - 사람 수와 축구공을 찬 횟수입니다.
                              - 사람 수와 필요한 색종이 수입니다.
                              - 울타리 수와 울타리 사이를 가로로 연결할 판자 수입니다.                                 도움말

                              - 철봉의 기둥 수와 철봉 대 수입니다.                                          교과서에 제시된 그림은 우리 생활
                                                                                              에서 찾을 수 있는 몇 가지 한정된
                         • 그림에서 철봉의 기둥 수와 철봉 대 수 사이의 대응 관계를 찾아 이야기해
                                                                                              예로, 학생들이 일상생활과 경험을
                           보세요.                                                               자유롭게 떠올려 다양한 대응 관계
                              - 철봉의 기둥 수가 철봉 대 수보다 1개 많습니다.                                   의 예를 찾을 수 있도록 유도한다.
                         • 그림에서 철봉의 기둥 수를 ◯, 철봉 대 수를 라고 할 때, ◯와 를 사용
                           하여 두 양 사이의 대응 관계를 식으로 나타내 보세요.
                              - +1=◯입니다. / ◯-1=입니다.
                         • 그림에서 여러 가지 대응 관계를 찾고, 기호를 사용하여 대응 관계를 식으로                            과정 중심 평가 방안 (차시 전체)
                           나타내 보세요.                                                           평가 방법  | 관찰

                              -                                                                학습 정보      지도 방안 예시
                                   ‘     사람 수        ’을/를 나타내는 기호           △                            생활 장면 그림 등
                                                                                               생활 속에서 대 을 제시하여 관찰하
                                   ‘  축구공을 찬 횟수      ’을/를 나타내는 기호                             응  관계를  잘  게 하거나, 짝 활동
                                                                                               떠올리지 못하 또는  모둠  활동을
                                                     식   △\2=(또는 ÷2=△)                       는 경우      통해 아이디어를 공
                                                                                                         유하도록 지도한다.

                              - 
                                   ‘     울타리 수       ’을/를 나타내는 기호           ☐

                                   ‘     판자 수        ’을/를 나타내는 기호           ◯


                                                          ◯+1=☐(또는 ☐-1=◯)
                                                     식

                              교과 역량
                           학교 주변을 나타낸 그림을 보고 대응 관계를 찾아냄으로써 추론 능력을 기를 수 있고
                           일상생활에서 수학의 유용성을 느끼며 창의·융합 능력을 기를 수 있다. 또한 생활 속의
                           대응 관계를 식으로 나타냄으로써 정보 처리 능력과 태도 및 실천 능력을 기를 수 있다.




                                                                                                       3. 규칙과 대응  193







            20개정_초등_지도서[513](169~202)_수정본-3교.indd   193                                                            2022. 4. 27.   오후 3:49
   190   191   192   193   194   195   196   197   198   199   2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