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341 - ele_math_5-2_tutor
P. 341
차시 수 138~139쪽 익 78~79쪽
수업 흐름
도입 진단 평가
[1~2] 진아의 줄넘기 기록을 나타낸
• 자룟값을 나타내는 표를 보고 알 수 있는 것들을 이야기하며, 자료 해석에 관 6
표입니다. 물음에 답하세요.
한 학생들의 이해 수준을 확인한다. 이때, 진단 평가 를 활용할 수 있다. 줄넘기 기록
• 차시 학습 목표와 학습할 내용을 안내하여 인식하도록 한다. 요일 월 화 수 목 금
횟수
100 80 110 70 100
(회)
1. 줄넘기를 가장 많이 한 날은 무슨
요일인가요?
전개 수요일
➊ 한 반에 학생이 몇 명 있는지 말하기 추론 의사소통 2. 줄넘기를 가장 적게 한 날의 기록
• 지민이네 학교 5학년 반별 학생은 각각 몇 명인가요? 은 몇 회인가요?
- 1반은 24명, 2반은 25명, 3반은 25명, 4반은 24명, 5반은 24명, 6반은 70회
22명입니다.
• 한 반에 학생이 몇 명 있다고 말할 수 있나요?
- 24명 있다고 말할 수 있습니다.
• 왜 그렇게 생각하는지 이야기해 보세요.
- 24명은 많지도 않고 적지도 않은 중간 수이기 때문입니다.
- 24명인 반이 가장 많기 때문입니다.
- 학생 수를 반별로 고르게 하면 한 반에 학생이 24명이기 때문입니다.
➋ 가온 마을에 눈이 온 횟수의 평균 알아보기 추론 의사소통 정보 처리
• 가온 마을은 한 해에 눈이 몇 회 정도 온다고 말하면 좋을지 생각해 보세요. 도움말
• 친구들의 의견에 대한 생각을 말해 보세요. 자룟값을 고르게 한 수인 평균을 대
푯값으로 이용하는 것의 합리성을
- 눈이 가장 많이 온 해에는 9회 왔고, 눈이 가장 적게 온 해에는 2회 왔으므
이해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로 가온 마을은 한 해에 눈이 2회 이상 9회 이하 왔다고 말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 해마다 눈이 많이 오기도 했고 적게 오기도 했으므로 눈이 온 횟수를 연도
별로 고르게 하여 구한 수로 말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 의 수를 연도별로 고르게 하면 각 연도에는 가 몇 개일지 예상해 보세요.
- 5개일 것 같습니다. 과정 중심 평가 방안 (탐구)
- 6개일 것 같습니다. 평가 방법 | 관찰
• 위에서 예상한 의 수를 생각하며 를 옮겨 보세요. 옮겨지는 것은 와 같 학습 정보 지도 방안 예시
이 표시하고, 옮긴 칸에는 를 그려 넣어 보세요. 모형(연결큐브)을
- (예상한 수를 생각하며 의 수가 고르게 되도록 옮겨 본다.) 자룟값을 고르 이용하여 연도별 눈
이 온 횟수를 나타
게 한 수라는
- (2020년의 1개를 2018년으로 옮기고, 2021년의 4개 중에서 3개를 2019 낸 다음 모형을 직
평균의 의미를
년으로, 1개를 2022년으로 옮겨 본다.) 이해하지 못하 접 옮겨 자룟값을
고르게 나타내게 하
• 를 연도별로 고르게 했을 때 각 연도에는 가 몇 개인가요? 는 경우 고, 교과서 활동과
- 5개입니다. 비교해 보게 한다.
6. 평균과 가능성 339
20개정_초등_지도서[526](325~370)_수정본-5교.indd 339 2022. 4. 27. 오후 8: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