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337 - ele_math_5-2_tutor
P. 337

3. 실생활 맥락에서의 가능성

                                             성취기준  6수05-05 에서는 실생활에서 가능성과 관련된 상황을 가능성을 표현하는 말로 나타
                                            낼 수 있어야 한다고 하였다. 실생활 상황과 관련된 가능성을 다루는 것은 우리의 삶과 수학적
                                            개념을 직관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는 좋은 방법이다. 그러나 이러한 장점에도 불구하고 실생활                              6
                                            소재를 다룰 때는 다소 신중해야 하는 면이 있다. 실생활 소재는 실험적 소재와 달리 가능성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변인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또한 실생활 상황에서는 크기와 모양이 같은
                                            구슬 뽑기와 같은 실험적 상황과 달리 등확률성이 전제되어 있지 않은 경우가 대부분이다.

                                             학생들이 실생활 상황에서 각 경우에 대한 등확률성을 인식하지 못하여 오개념을 보이는 것은
                                            선행 연구를 통해서도 보고된다. 5학년 학생들에게 가능성이 반반인 경우의 사례를 발표하게
                                            했을 때, ‘ ̄이거나  ̄아니거나’와 같이 이분법적으로 사고하고 각각의 가능성의 크기는 고려
                                            하지 못하는 특성이 나타나는 것이 보고된 바 있다. 이와 같은 학생들의 오개념에 대해 동전을
                                            던지는 것과 타율이 70 %인 야구 선수가 공을 치는 것은 다른 종류의 시행임을 파악하게 하는
                                            것이 관건이라 밝혔다(장혜원, 2013).
                                             이를 바탕으로 했을 때, 실생활 맥락에서의 가능성을 다룰 때는 학생들이 보일 수 있는 오개념
                                            에 대하여 교사가 미리 숙지하고 있어야 하며 이러한 다양한 상황을 고려할 수 있도록 질문을
                                            던지거나 토론을 유도하는 것이 중요하다.















                                              자료 출처

                                           • 박성선, 김민경, 방정숙, 권점례 공역, 『초등 교사를 위한 수학과 교수법』, 2017.
                                           • 이대현, 『초등 수학과 교육과정과 교재 연구』, 2014.
                                           • 장혜원, 「확률 개념을 위한 ‘가능성’의 지도  –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 확률 지도 방안
                                             탐색」, 2013.
                                           •  Boyer, Ty. W., Levine, S. C., Huttenlocher, J., Develop ment of proportional reasoning:
                                             Where young children go wrong, 2008.

                                           •  Fischbein, E., The intuitive sources of probabilistic thinking in children, 1975.
                                           •  Schlottmann, A., Children’s probability intuition s: understanding the expected value of
                                             complex ga mbles, 2001.

















                                                                                                     6. 평균과 가능성   335







            20개정_초등_지도서[526](325~370)_수정본-5교.indd   335                                                            2022. 4. 27.   오후 8:25
   332   333   334   335   336   337   338   339   340   341   3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