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39 - ele_math_6-2_tutor
P. 139
9 단원의 1. 공간 감각
이론적 배경 NCTM(1989)에서는 자기 주위의 상황과 그 상황에서 물체에 대해 갖는 직관적인 느낌을
공간 감각이라고 지칭한 바 있다. 또한 공간 감각은 2, 3차원의 물체를 정신적으로 비틀고
변환하고 회전하며, 제시된 시각적 형태의 구성 부분 사이의 관계를 인식하여 조작하는 능력 2
(McGee, 1979)으로 정의되거나, 물체나 도형을 마음속으로 회전하고, 제시된 배열을 다른
시선으로 보았을 때 어떻게 보일지를 상상할 수 있으며, 공간 관계와 방향을 마음속에서 재배
열할 수 있는 능력(Lohman, 1979)으로 정의되기도 한다.
이와 같은 선행 연구를 살펴보면 공간 감각에 대한 해석과 강조점은 연구자마다 조금씩 다르
지만 그 속에서 공간 감각의 공통적인 의미를 추출해 볼 수 있는데 이는 공간 속에서 대상 사
이의 관계와 방향성을 파악하고, 회전과 변환을 심적으로 상상하고 조작할 수 있는 능력으로
정리할 수 있다.
공간 감각을 구성하고 있는 요인에 대한 다양한 분석이 존재하지만 이는 크게 공간 시각화
능력과 공간 방향 능력으로 구분할 수 있다.
공간 시각화 능력은 다시 정신적 회전, 정신적 변환, 도형-배경 지각이라는 하위 요인으로,
공간 방향 능력은 방향 감각, 거리 감각, 위치 감각이라는 하위 요인으로 구별한다. 각 능력의
하위 요인과 그 의미는 다음 표와 같다.
[표 1] 공간 감각 분류 체계(조영선, 2010)
공간 감각 하위 요인 의미
2D 2차원 표현을 정신적으로 회전시키는 능력
정신적 회전
3D 3차원 표현을 정신적으로 회전시키는 능력
공간 2D-2D 2차원 표현에서 2차원 표현으로의 변환 능력
시각화 2D-3D 2차원 표현에서 3차원 표현으로의 변환 능력
능력 정신적 변환
3D-2D 3차원 표현에서 2차원 표현으로의 변환 능력
3D-3D 3차원 표현에서 3차원 표현으로의 변환 능력
도형-배경 지각 복잡한 배경에서 특정 도형의 지각 능력
공간 방향 감각 평면에서의 시점 변화 및 방향 탐색 능력
방향 거리 감각 공간에서 멀고 가까움의 정도 판단 능력
감각 위치 감각 공간에서의 시점 변화 및 위치 판단 능력
2. 쌓은 모양과 쌓기나무의 개수 알아보기
이 단원에서는 쌓기나무의 쌓은 모양을 평면으로 표현하고, 평면으로부터 쌓은 모양을 추측
하는 활동을 통해 공간 감각을 기르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통해 쌓은 모양을 다양한 방법
으로 나타낼 수 있고, 쌓은 모양과 똑같이 쌓을 때 필요한 쌓기나무의 개수도 알 수 있다.
공간에 있는 물체의 위치나 모양을 평면상에 올바르게 나타내기 위해 그려진 그림을 투영도
라 한다. 투영도는 쌓기나무로 쌓은 모양을 평면에 제시하는 가장 일반적인 방법 중의 하나이
다(교육부, 2020). 이에 이 교과서에서도 쌓은 모양을 투영도로 나타내기로 한다.
2. 공간과 입체 137
20개정_초등_지도서[622](129~176)_수정본OK.indd 137 2022. 4. 28. 오후 12: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