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41 - ele_math_6-2_tutor
P. 141
이 단원에서 다루고 있는 방법은 아니지만 지면에 그림을 그린 후 불필요한 부분을 제거해
나가는 방법을 생각해 볼 수 있는데 이를 ‘부분 제거법’이라고 한다. 쌓은 모양을 스케치하기
위해 2×2×2 또는 3×3×3으로 쌓여진 정육면체를 그린 후, 불필요한 부분을 제거하면서
나머지 형상을 완성해 가는 부분 제거법을 적용함으로써 남겨진 쌓기나무의 개수를 쉽게 셀 2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입체도형에 대한 스케치 능력과 공간 감각을 기를 수 있다(장혜원, 강종표,
2009).
2×2×2의 입체도형에서 지워진 부분에서 쌓기나무의 모서리를
없어진 부분을 지운다. 동일 방향의 모서리와 평행하게 긋는다.
자료 출처
• 교육부, 『수학 6-2 교사용 지도서』, 2020.
• 장혜원, 강종표, 「쌓기나무 지도를 위한 부분 제거법의 적용」, 2009.
• 조영선, 「초등학생들의 공간 감각 실태 조사: 4~6학년을 중심으로」, 2010.
• Lohman, David F., Spatial ability: Individual differences in speed and level(Report No.9),
1979.
• McGee, Mark G., Human spatial abilities: Psychometric studies and environmental,
genetic, hormonal, and neurological influences, 1979.
•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Curriculum and evaluation standards for
school mathematics, 1989.
2. 공간과 입체 139
20개정_초등_지도서[622](129~176)_수정본OK.indd 139 2022. 4. 28. 오후 12: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