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39 - ele_science_3-2_tutor
P. 39
• 4과17-01 물이 이동하거나 상태가 변하면서 순환하는 과정을 생명체, 지표면, 공기 사이
에서 일어나는 다양한 현상과 관련지어 설명할 수 있다.
• 4과17-02 물의 중요성을 알고 물 부족 현상을 해결하기 위해 창의적 방법을 활용한 사례를
조사할 수 있다.
탐구 활동
물의 순환 과정을 알아보는 모형실험 하기
물 부족 현상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 토의하기
(가) 학습 요소
•증산 현상, 증발, 물의 상태 변화, 물의 순환
(나) 성취기준 해설
• 4과17-01 물의 순환 과정을 물의 상태 변화, 식물의 잎을 통한 증산 현상, 증발, 구름의
생성, 강우 등과 관련지어 통합적으로 다룬다. 지구에서 일어나는 물의 이동과 물의
상태 변화의 모습을 다양한 관점에서 다룬다. 증산 작용은 5~6학년군에서 다루기 때문에
여기서는 증산 현상 위주로 다룬다. 세계 여러 곳에서 물이 만년설, 빙하와 같이 액체가
아닌 상태로도 존재함을 이해한다. 구름이나 안개를 물의 기체 상태로 오해하지 않도록
유의한다.
• 4과17-02 물 부족 현상을 해결하기 위한 과학·기술·공학적 설계의 예를 찾아봄으로써
적용된 과학적 원리를 탐색하되, 환경 오염은 다루지 않는다.
(다) 교수·학습 방법 및 유의 사항
• 날씨 현상, 물 부족 현상과 관련된 다양한 사진 자료나 멀티미디어 자료를 조사하고, 이
를 수업에 활용하여 물의 순환이 어떻게 일어나고, 물이 왜 소중한지를 인식하도록 한
다. 물의 순환 과정을 알아보는 간단한 실험 활동을 실시하고, 그 결과를 그림이나 글로
표현하여 생각을 정리하게 할 수 있다.
• 물 자원을 효과적으로 이용하는 방법을 조사하고 일상생활에서 실천할 수 있도록 한다.
• 이 단원은 3 ̄4학년군의 ‘물의 상태 변화’, 5 ̄6학년군의 ‘식물의 구조와 기능’, ‘생물과
환경’, ‘날씨와 우리 생활’, 중학교 1 ̄3학년군의 ‘수권과 해수의 순환’, ‘식물과 에너지’,
‘동물과 에너지’와 연계된다.
(라) 평가 방법 및 유의 사항
• 물의 순환 과정과 관련된 다양한 사례를 조사하고 정리한 결과를 평가하거나, 물의 순환과
관련된 실험 과정을 관찰 평가하거나, 물의 순환 과정을 글과 그림으로 표현하게 하여
그 결과물을 평가할 수도 있다.
• 탐구 활동 과정에서 얻어진 결과물을 실제 자연 현상에서 예를 찾아보는 활동 등을 평가
하거나 토의 과정을 통해 평가할 수도 있다.
1. 2015 개정 교육과정 37